이명박 대통령(사진)이 "(북한 급변 사태로) 통일이 돼도 현재 북한 지역에 미군이 주둔하지 않고 현재의 (군사분계선) 남쪽 위치에 있을 것이라는 점을 (한·중 간에) 이야기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고 15일 동아일보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중국이 (동북아 정세 변화로 인한 북한 급변 사태 이후) '한반도가 통일되면 미국의 역할이 어떻게 될 것인가'하고 걱정하는 바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며 "(핵실험을 계기로) 중국의 대북 인식에 변화가 오고 있다. 후진타오 주석 임기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 중국 측이 '우리를 너무 북한 편으로만 보지 말아 달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한·미 동맹이 한·중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점도 한·중 정상 간에 이야기해 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라는 국가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핵실험은 '막 가는' 것이며 (핵실험이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정권 차원에선 실패의 길로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 급변 사태 때) 북한의 핵시설을 어떻게 할 것이냐, 예를 들면 유엔 사람들이 들어와서 보증하는 식의 방안들도 (정상 간의) 논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핵무장론'에 대해 "애국적 생각이란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그런 발언이 북한과 중국에 대한 경고도 되는 만큼 잘못됐다고만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리 사회에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면서도 "국제 공조를 통한 북한 핵 포기가 최종 목표인 만큼 정부가 핵 보유를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맞지 않다"고 말했다.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판단에 이르렀을 때 북한을 때리겠다는 생각도 했나"라는 질문에는 "우리도 얼마든지 (공격)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며 "정박 중인 북한 잠수함에 들어가서 쥐도 새도 모르게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있는데도 참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