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3·1운동 피살자와 강제 징용 피살자, 관동대지진 피살자 등이 실린 '일제 강점기 희생자' 명부가 첫 공개됐다.
 
19일 오후 안전행정부 산하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지난 6월 일본 도쿄 주일한국대사관 이사 도중 발견한 일제강점기 희생자 명부 67권을 분석해 발표했다.
 
국가기록원 발표에 따르면 해당 명부는 1953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지시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로,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면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공개된 명부는 '3·1 운동시 피살자 명부(1권 630명)'와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1권 290명)', '일정(日政)시 피징용(징병)자 명부(65권)' 등 총 67이다.
 
이 명부에는 총 23만여명의 희생자가 등재돼 있으며, 특히 3·1운동 피살자와 일본 징용시 피살자 명단 등이 최초로 공개 됐다. 
 
3·1운동 피살자의 경우 기존에 유공자로 인정된 391명보다 246명 많은 637명이 등재됐다. 특히 이름 뿐 아니라 성별, 나이, 주소, 순국일시, 순국장소, 순국 상황 등이 함께 기록돼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고 향후 독립유공자 선정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지역에서 169명 중 100여명, 충청도 지역에서 100명 중 69명, 천안지역에서 29명 중 16명, 예산지역에서 10명 중 7명의 3·1운동 피살자가 새롭게 발견됐다. 
 
관동 대지진 피살자 명부도 최초로 확인됐다. 해당 명부는 1권으로,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가 실려있다. 명부에는 한국인 290명의 희생자가 피살일시와 피살장소, 피살상황 등과 함께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어 보상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명단에 따르면 관동 대지진 당시 일가족 4명이 다 학살된 경우도 있었으며, 2살 아이도 학살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금까지 관동 대지진 당시 한국인 학살자 수는 적게는 6000명에서 많게는 2만명 가량일 것으로 추정했지만, 구체적인 명단이 드러난 것은 처음이다.
 
강제 징용 피살자 명부도 함께 공개 됐다. 강제 징용 피살자 명부는 총 65권으로 22만 9781명의 명단이 실렸다.
 
이번에 공개된 명부는 1950년 기록한 최초의 명부란 점에서 역사적 가치 높으며, 특히 경북 경산 지역의 경우 1000여명이 신규 명단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국가기록원 측은 "명부에 대한 세부적 분석이 마무리 되는대로 국가보훈처 등에 자료를 제시해 과거사 증빙 자료나 국가유공자 선정 등에 도움이 되게 하겠다"며 "내년부터는 일반 국민도 열람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