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인 지난 2011년 1월 삼호주얼리호를 납치했던 소말리아 해적 가운데 우리 해군에 생포돼 대전교도소에서 복역하고 있는 이들이 “한국에 귀화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석해균 선장에게 총을 쏜 마호메드 아라이(26·무기징역)를 비롯해 아울 브랄렛(22·징역 15년형), 압디카드 아만 알리(24·징역 13년형)·압둘라 알리(26·징역 13년형), 압둘라 후세인 마하무드(23·징역 12년형)는 최근 중앙일보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한국이 허락해준다면 귀화를 하거나 난민신청을 통해서라도 한국에 남고 싶다”고 밝혔다.
한국 교도소에서의 생활을 묻는 질문에 압디카드 아만 알리는 “소말리아 교도소에서는 수용자가 씻는 건 물론 손발톱을 깎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데, 한국 교도소는 시설이나 처우가 무척 좋다”고 말했다. 마호메드 아라이 역시 “밥도 맛있고 교도소에서 많이 배려해준다”고 답했다. 여가시간에는 주로 텔레비전을 본다고 했다. 특히 아울 브랄렛과 마호메드 아라이는 각각 좋아하는 노래로 가수 임재범의 ‘여러분’과 전통민요 ‘아리랑’을 꼽았다.
한편 석해균 선장에게 총을 쐈던 마호메드 아라이는 “식사할 때면 문득문득 소말리아에서 굶고 지낼 아이들이 생각나 눈물이 나곤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 음식에 대해 “무척 맛있다”며 “생선튀김, 생선조림, 오징어, 어묵이 맛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과거 해적질을 했던 이유를 묻는 질문에 기구(崎嶇)했던 자신들의 신세를 언급했다. 압디카드 아만 알리는 “소말리아에서 한 달에 5만원 가량 받았는데 일곱 식구를 먹여 살릴 수 없었다”고 했으며, 아울 브랄렛은 “소말리아 내전 때 아버지가 총에 맞아 돌아가시고 버스 운전을 했는데 버스가 고장이 나면서 할 일이 없어 해적이 됐다”고 답했다. 해적이 되기 전 어부였던 마호메드 아라이는 “수입이 적어 첫 번째 아내가 떠났고, 지금 아내도 떠나버릴 것 같아 해적 일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석 선장의 소식에 대해 알고 있었다. 마호메드 아라이 등 일동은 “(석 선장이) 살아났다는 소식을 듣고 무척 기뻤다”며 “기회가 온다면 석 선장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잘못을 빌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일보는 법무부의 말을 인용, 이들이 처음 교도소에 들어왔을 때보다 몸무게가 10kg 가까이 늘어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