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무기체계의 수리부속 부족, 사용자 대기기간 과다 등의 고질적인 군수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군수혁신위원회를 본격 가동했다.

국방부는 군수혁신위원회를 통해 조달, 수리부속, 물류 혁신 분야의 총 41개 군수혁신 과제를 확정하고 연말까지 주요 시범사업 성과를 확인한 후 단계적인 확산계획을 수립키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방부는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전투준비채세 강화 등 전력운영분야의 개선현안을 모색하기 위해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사에 경영진단을 의뢰했고,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군수혁신 계획을 수립했다.

당시 맥킨지사는 "전투준비태세 강화를 위해서는 조달, 수리부속, 물류 분야에서 총체적인 혁신 프로젝트 추진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국방부는 우선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수리부속 조달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주요 수리부속의 조달 소요기간을 50% 이상 단축시켜야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면서 "국방부, 각 군 본부, 군수사령부, 방위사업청,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프로젝트팀이 5월부터 본격 가동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팀은 해외 수리부속 조달 문제 유형별 시범품목을 선정해 기간단축, 비용절감 등 성공사례 확산계획을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군수품 공급업체 진입장벽 해소를 위해 국방규격도 모두 공개키로 했다. 국방규격을 가지고 있는 총 475건의 전력지원체계 목록 중 115건은 현재까지 비공개 대상이었지만 올해까지 100% 공개를 목표로 검토 중에 있다.

또 2012년 발생한 신병 운동화 보급 중단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군수업체와의 장기계약도 확대한다.

군은 수리부속 운영 혁신을 위해 수요예측 모형을 무기체계별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는 올해까지 14개 장비의 모형을 개발하고 2016년까지 주요장비들의 모형개발을 완료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개발된 모형을 통해 수요예측 정확도를 현재 70% 수준에서 80% 이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 장비에 적용할 경우 연간 500∼600억 원의 예산 절감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군은 보관중인 수리부속에 대해 상태별로 분류해 정비비용 대비 효용성이 낮은 품목은 향후 2년내에 재판매, 물물교환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저장관리 인력 및 창고를 절감해 자관관리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국방군수혁신 추진 체계도. © News1

아울러 군수품 물류 혁신을 위해 현재 5단계 보급지원체계를 3단계로 단축키로 했다.

현재 군수사-군지사-사단-연대-사용부대로 이어지던 5단계 보급체계는 앞으로 군수사-사단-사용부대 또는 군수사-군지사-사용부대의 3단계로 단순화 된다. 긴급 품목일 경우 민간택배나 민간항공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군은 우선 오는 7월부터 육군2군단을 대상으로 3단계 보급 체계를 시범운영한다.

국방부는 "군수품 보급체계가 단순화 되면 수송기간이 줄어들고 사용부대의 대기기간도 짧아진다"면서 "이 같은 보급체계가 완성되면 연간 451억원의 예산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군은 올해 연말까지 각 부대의 여성전용화장실을 100% 확보키로 했다. 육군의 경우 현재 110개동의 여성 화장실이 필요한 실정이고, 군은 올해 안에 공사작업을 마칠 계획이다.

군은 또 2020년까지 표준차량 2만4395대를 상용차량으로 전환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전방지역의 급식환경도 개선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