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61명 중 절반에 가까운 45%인 28명, 교육감 후보 72명 중 26%인 19명이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과 내용은 뇌물, 횡령, 음주 운전에서 분묘 도굴, 음란물 유포까지 다양했다.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가 27일 선관위의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사항을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광역단체장 후보의 전과자 비율이 가장 높은 정당은 통합진보당(42%, 12명)이었다. 다음으로는 새정치민주연합(8명, 28%), 정의당(3명, 10%), 새누리당(2명, 7%) 순이었다.
광역단체장 후보 전과로 가장 많은 것은 폭력(22건)이었고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21건), 공무집행방해(18건), 업무방해(16건), 국가보안법(16건), 교통방해(10건)·음주 운전·무면허 등 도로교통법(9건) 순이었다. 노동당 이갑용 울산시장 후보의 전과 기록은 모두 7건으로 광역단체 후보 중 가장 많았고, 새정치당 주종근 제주지사 후보는 2008년 분묘 도굴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았다.
교육감 후보의 전과 중 가장 많은 것은 도로교통법 위반(9건)이었고 집시법(4건), 건축법, 공무원법(3건) 위반 순이었다. 이 중 정상범 대전교육감 후보는 음란물 유포로 벌금 100만원을 선고받았고, 송인정 대구교육감 후보는 무면허·음주 운전·사기 전과가 있었다.
주요 정당들은 이번 선거를 앞두고 공통적으로 '도덕성'을 공천 심사 기준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새정치연합과 통진당 등 야당들은 집시법, 국보법, 폭력 등 시국 관련 전과는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발생했다"며 문제 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