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체포돼 재판을 기다리던 사담 후세인이 "스웨덴 감옥에 가고 싶다"고 했다. 왜 하필 스웨덴이었는지 그곳 감옥 사정을 알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재소자마다 독립된 방에 TV·컴퓨터를 주고 사우나실도 편히 쓸 수 있다. 교도관 없이 면회하고 골프 연습을 하는 교도소도 있다. 그런데도 가끔 재소자들이 작업 거부 파업까지 한다니 재소자라면 부러워할 '감옥 복지' 일등 국가인 셈이다.

▶교도소 말 가운데 유명한 게 '범털'과 '개털'이다. 사회에서 힘 있고 '빽' 있던 범털이든 아니면 개털이든 교도소 작업반에 들어간다. 그중에 서울 근교 어느 교도소 원예반이 '범털 집합소'였다. 30년 넘게 교도관 하다 퇴직한 이가 원예반 풍경을 글로 적어놓았다. '10여명 모두 전직 관료·국회의원·군인·기업가였는데 서로 반장을 맡겠다고 나서는 바람에 담당 교도관이 난관에 봉착했다.' 무슨 대단한 특별 대우 받는 것도 아닌데.

▶죄지은 사람 가두는 교정 행정 목적은 징벌에도 있고 새사람 만들자는 교화(敎化)에도 있다. 스웨덴·노르웨이가 호텔 같은 교도소를 꾸리는 것은 바깥세상과 격차를 줄여 출소 후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서다. 이런 나라 재범률은 미국·영국의 절반 아래다. 반면 툭하면 재소자 폭동이 일어나는 중남미 나라들은 교도소에서 배워 저지르는 강력 범죄로 몸살을 앓는다.

▶10년 전쯤 재소자 인권·처우가 부각되면서 우리 재소자들 삶의 질도 훨씬 나아졌다. 교도소·구치소 쉰한 곳 중 온돌 난방하는 데가 스무 곳쯤 된다. 모범수들이 1박 2일 가족과 지낼 숙소를 따로 짓거나 영화 감상 같은 동아리를 교도관 감시 없이 재소자들끼리 운영하기도 한다. 4년 전 경기도 여주에 문을 연 민영 교도소는 재소자가 감방 아닌 식당에서 편한 자리 골라 밥을 먹을 수 있어서 입소(入所) 경쟁이 치열하다. 법무부는 낡은 교도소 시설 개선이 범죄율을 낮춘다고 본다.

▶법무부가 새로 지으려는 교도소가 번번이 주민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그래서인지 엊그제 법무부가 교도소 두 곳 내부를 언론에 공개했다. 지은 지 51년 된 안양교도소는 재난 위험 시설로 분류될 만큼 구닥다리다. 반면 3년 전 문을 연 서울남부교도소는 재소자들이 '기숙학교'로 부르는 최신식이다. 법무부 설명으론 교도소 배치는 '복불복'이다. 그러다 보니 좋은 곳에 보내달라며 로비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다 '교도소 배치도 범털, 개털 있다'는 소리 나오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