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이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발전소 도면 유출 관련해 해킹범의 소재지 파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합수단은 국내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의 소재지를 파악하고 게시글 중 미국에서 등록된 트위터 아이디(ID)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국제 공조수사를 요청했다.

◆ 내부 유출보다는 해킹에 가능성 높아

검찰은 이번 사건이 내부 유출인지 외부 해킹인지를 확인 중이다. 지금까지 내부유출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 등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해커로 추정되는 이들은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월성 1호기 감속재 계통 및 배관 설치 도면 등을 공개했다. 합수단은 게시글의 IP를 추적해 소재지가 대구인 것으로 파악했지만 해당 ID는 도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자신을 원전반대그룹(Who Am I?)이라고 밝히면서 전날 트위터에 한수원을 조롱하는 글과 함께 파일 4개를 추가로 공개했다.

합수단은 또 다른 포털사이트인 네이트에 올라온 게시글의 IP에 대해서도 추적 중이다. 합수단은 게시자 IP가 국내 외 일본에서도 발견해 확인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최종 IP는 추적하다 보면 도용된 경우가 많아 최종 시작점이 어딘지는 추적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며 “현재 월성고리에 수사관을 파견해 담당직원의 업무용 컴퓨터를 임의 제출받아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 수사 장기화 우려

합수단 수사는 장기화될 가능성도 크다. 사이버범죄 특성상 ID를 도용하기 흔하고 해외 IP를 추적하다 보면 수사 기간이 길어지기 일쑤다. 유동 아이피 기술을 사용하면 추척은 더 어렵다. 합수단은 IP가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도용된 IP가 사용된 점 등을 들어 고도의 전문가 소행으로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농협 해킹의 경우 IP추적이 4~5개월 걸렸다”며 “이번 사건도 해외 IP까지 추적하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보이나 합수단 수사 인력을 총동원해 신속하게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수원은 지난 19일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검찰은 선거관리위원회 해킹사건, 농협 해킹 사건 등 수사 경험이 많은 합수단에 사건을 배당했다. 합수단은 모든 인력을 이사건에 투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