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서정환 기자] ‘농구대통령’ 허재(50) KCC 감독이 돌연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프로농구 전주 KCC 구단은 9일 오후 허재 감독이 성적부진에 따른 책임을 지고 오전에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표현했다고 발표했다. 하승진과 김민구의 부상이 겹친 KCC는 올 시즌 우승후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9위(11승 34패)의 부진한 성적표를 쥐고 있다. 성적에 따른 스트레스가 심했던 허재 감독은 올 시즌 6강 진출이 사실상 어려워지자 결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허 감독은 한국농구가 낳은 최고의 스타플레이어였다. 그는 2004년 5월 동부의 전신 TG삼보를 우승으로 이끈 뒤 정든 코트를 떠났다. 미국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은 그는 2005년 라이벌 KCC의 감독으로 전격 부임했다. 당시만 해도 40대 감독의 기수로서 파격적인 발탁이었다. 동부시절부터 인연이 있던 용산고 선배 최형길 단장 등 낯익은 얼굴이 여럿 있었다.

스타출신은 감독으로 성공할 수 없다던 편견은 허 감독 앞에 보기 좋게 깨졌다. 허 감독은 2008-2009시즌 괴물신인 하승진을 앞세워 결승전에서 삼성을 누르고 첫 우승컵을 들었다. 정규시즌을 3위로 마친 KCC는 6강부터 시작해 처음으로 최종우승을 거머쥔 팀이 됐다.

KCC는 2010년 챔피언결정전에서 모비스에게 우승을 내줬다. 2010-2011시즌에도 KCC는 강병현, 하승진 등 스타들을 내세워 우승을 차지했다. 허재 감독은 3시즌 동안 우승 2회 준우승 1회라는 금자탑을 쌓으며 프로농구 대표 명장으로 부상했다. 허재 감독들은 스타출신 선수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는데 능했다. 자신이 스타출신이라 선수들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알았다.

시련도 있었다. 하승진이 빠진 2012-2013시즌 KCC는 13승 41패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2013-2014시즌 KCC는 7위로 6강 문턱에서 주저 앉았다. 다만 대형신인 김민구를 발굴해 위안을 삼았다. KCC는 비시즌 김태술을 영입해 다시 도약을 노렸다. 하지만 김민구와 하승진의 잇따른 부상으로 정상전력을 거의 가동하지 못했다. 결국 허 감독이 지휘봉을 놓기에 이르렀다.

허재 감독은 정규시즌 통산 252승(승률 47.5%)으로 역대 다승 6위에 올라 있다. 역대 감독 중 200승 이상을 달성한 이는 9위 유도훈 감독(200승)까지 단 9명에 불과하다. 그 중 허재 감독을 포함한 7명이 우승경험이 있다.

올 시즌 종료 후 추일승 오리온스 감독, 전창진 KT 감독 등이 현소속구단과 계약이 만료된다. 벌써부터 비시즌 지도자들의 연쇄이동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일고 있다.

[jasonseo34@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