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지문을 모사해 먼지 만한 크기로 만들어내는 위조 방지 기술이 개발됐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 박욱 경희대 전자전파공학과 교수팀은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최근호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위조를 방지하는 여러 기술 중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마이크로식별자(microtaggant)를 상품 표면이나 상품 속 내용물에 넣는 방식이 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은 식별자를 이용하는 것이 장점이지만, 특성을 표시하는 방식이 바코드 등 예측 가능한 방식이어서 복제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이 표면의 섬유 구조를 이용하는 등의 위조 방지 기술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기술들은 오히려 코드를 해독하는 방식이 너무 까다롭거나 다양한 상품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코드를 원하는 모양으로 생성하는 것도 숙제였다.

연구진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의 지문을 모사해 복제가 어려우면서 코드를 쉽게 조절하고 읽을 수도 있는 ‘인공 미세 지문’을 개발했다.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식별자에 자연 주름을 넣고 그 안에 무작위로 특징점을 분포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특징점이란 이어진 융선(지문 곡선)과 중간에 끊어지는 끝점, 2개의 융선이 만나는 분기점 등을 말한다. 사람마다 특징점의 위치와 수가 달라 이를 비교하면 지문이 일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인공 미세 지문은 주름이 형성되는 과정이 예측 불가능해 복제가 어렵고, 기존에 지문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쉽게 읽을 수도 있다. 박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문이 지폐와 의약품, 고가의 귀중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돼 위,변조 행위를 원천적으로 없애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