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북부하나센터에서 탈북자와 일반 주민들이 함께 합창 연습을 하고 있다.

탈북자와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소통하고 돕는 지역공동체가 생겨나고 있다. 탈북자 거주촌이 '게토(ghetto·격리된 주거지)'화하는 것을 막고 순조로운 정착에도 큰 도움이 된다. 탈북자들에게 이웃이란 울타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는 서독이 통일 전 동독 이탈민을 받아들일 때 적용한 방식이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선 노원구가 성공 사례로 꼽힌다. 전체 1960가구 중 400여 가구가 탈북 가정인 중계동의 A임대아파트는 탈북자와 일반 주민들이 입주민 전용 헬스장과 탁구장, 독서실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서울북부하나센터와 공릉종합복지관은 공동으로 남북 주민 체육대회와 경로 잔치, 북한 음식 나누기, 남북 대학생 여름캠프를 연례행사로 연다. 동네 합창단과 사진 동아리, 자원봉사단 등도 운영 중이다.

5년 전까지만 해도 노원구에선 탈북자와 기존 주민 간 갈등이 적잖았다. 임대아파트 주민들 사이에선 "우리는 청약을 들어 어렵게 입주했는데, 탈북자들은 정부 지원으로 입주한 뒤 각종 무상 복지 혜택도 받고 있다"는 '역차별' 정서도 있었다. 그러나 지난 2013년 노원구와 SH공사가 5억원을 공동 출자해 남북 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부대 시설을 만들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탈북자 출신으로 입주자 대표를 지낸 이해영(52)씨는 "이제 주민들 사이에 '탈북자와 함께 살 수 있다'는 생각이 자리 잡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인천 하나센터에서도 탈북자와 일반 주민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탁구 교실과 노인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해운대복지관은 '남북 청소년 공동 교육 프로그램'과 주민 문화 나눔 행사를 열고 있다. 정부는 2017년 서울에 '남북통합문화센터'를 설립, 본격적인 주민 통합 정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