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19일 코스닥지수가 장중 한때 7% 가까이 폭락했다가 4.2% 하락으로 마감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 6% 넘게 떨어진 데 이어 19일에도 장중 한때 5% 넘게 폭락했다. 마감 직전에 중국 정부의 개입 기대감으로 반등해 1.2% 상승했다.

중국 정부는 7% 성장 목표에 맞춰 경제가 순항(順航)하고 있다고 공식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데다 내수 침체도 심상치 않다는 신호가 그치지 않고 있다. 전력 소비가 많을 수밖에 없는 7월에도 전력 사용량은 이례적으로 작년보다 1.3% 줄어들었고, 7월 승용차 판매량은 작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부 백화점은 문을 닫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성장률이 5~6%에 그쳤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지금 중국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 정부의 경기대책이 도무지 시장에 먹히지 않고 있는 점이다. 작년부터 금리를 계속 내렸고 최근 들어서는 환율을 연달아 올렸지만 증권·부동산 시장은 갈수록 침체하고 경기도 줄곧 하강하고 있다. 1978년 개혁·개방 정책이 도입된 이후 정부의 정책이 작동하지 않는 것은 30여년 만에 처음이다. 우리 기업과 정부는 중국을 떠나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중국 경제의 충격은 예상보다 심각하게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중국은 우리 수출의 4분의 1이 향하는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어떤 기준으로 봐도 중국 경제가 추락하면 가장 타격을 받게 되는 국가군(群)에는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외에 반드시 한국이 꼽히고 있다. 이 때문에 블룸버그는 최근 중국 위안화 절하로 충격을 받을 '불안한 10개국(troubled 10)'에 한국을 집어넣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우리 성장률은 0.17%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 한국 주식을 팔고 나가는 '셀 코리아(Sell Korea)'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는 것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우리 주식·채권 시장에서 5조원 가까이 팔고 나갔다. 4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아직은 심각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앞으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중국이 위안화 추가 절하로 대응하면서 국제 금융 시장이 요동(搖動)치면 우리 경제도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돌발 상황에 대비한 비상 시나리오를 점검하고, 기업들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假定)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투자자들도 대중(對中) 투자에 신중해야 할 시기가 닥쳤다.

[사설] 野, 청년들 편에서 진지하게 노동개혁 임하는 모습 보여야
[사설] 가난한 아이들 교육 기회 빼앗는 사람이 교육감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