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의학상은 중국 전통 약초 서적을 연구하여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을 찾아낸 투유유(屠呦呦·85) 중국중의연구원 종신연구원과 기생충 치료 약물 개발에 기여한 아일랜드 출신의 윌리엄 캠벨(85) 미국 드루대학 교수, 일본의 오무라 사토시(80) 일본 기타자토대학 명예교수 등 3명의 기생충 연구자에게 돌아갔다.

노벨의학상이 중국 전통 약초학 연구자에게 수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5일 ‘2015 노벨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이들의 연구와 업적으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 등에서 한 해 수백만명에 이르는 말라리아와 기생충 감염으로부터 많은 환자가 목숨을 구하고 감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수상 공적을 설명했다.

투유유 종신연구원은 중국 국적으로는 최초로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한 인물이 됐다. 또 중국의 첫 여성 노벨상 수상자라는 두 가지 영예를 동시에 얻었다. 그의 이름 유유(呦呦)는 시경(詩經)의 구절인 “사슴이 울며 들판의 풀을 뜯는다(呦呦鹿鳴 食野之苹)”에서 따온 것이다.

투 박사는 이름처럼 자연의 풀에서 신약 성분을 추출해 노벨상까지 거머쥐었다. 베이징 의대에서 약학을 전공한 투유유 연구원은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줄곧 중국 전통의학 연구소 교수로 재직했다. 그녀는 1971년 말라리아 특효약인 ‘아르테미시닌’을 개발해 1990년대 이후 말라리아 퇴치에 큰 기여를 했다. 아르테미시닌은 ‘개똥쑥’으로 불리는 풀에서 뽑아낸 것이다.

관영 신화망은 “이 약 덕분에 100만명 이상이 목숨을 구했을 것”이라고 했다. 투 연구원은 “1600년 전 고대 의학서가 영감을 줬다”며 “아르테미시닌은 현대 과학과 전통 의학이 결합한 성과물”이라고 말했다.

윌리엄 캠벨과 오무라 사토시 교수는 항(抗)기생물질인 ‘아버멕틴’을 발견한 공로를 이번에 인정받았다. 이 물질은 매우 소량으로도 구충과 회충 등 기생충과 진드기, 구더기 등에 박멸 효과를 내어 기생충 구제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일본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로써 일본의 역대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20명이 됐다.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김의석 교수는 “지금도 저개발 국가에서는 많은 이들이 기생충 질환으로 목숨을 잃거나 고통당하고 있다”며 “노벨의학상이 기생충 연구자에게 돌아감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저개발 국가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치료제 연구자들에게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