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평화상은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The National Dialogue Quartet)'에 돌아갔다. 2011~2013년 ‘아랍의 봄(북아프리카 중동 민주주의 운동)’이후 관련 국가 대부분이 민주주의를 이뤄내지 못한 채 과거로 회귀한 반면 튀니지에는 민주주의가 잘 정착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위원회는 그 배경에 4자대화기구가 있다고 설명했다.

노벨상 위원회 관계자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호명하고 있다

노르웨이 노벨상 위원회는 9일(현지시각)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를 평화상 수상단체로 선정하고 그 이유에 대해 “2011년 재스민 혁명에 이어 튀니지에 다원주의 민주주의를 구축한 공로를 인정했다”고 밝혔다.

“튀니지가 민주화 붕괴와 내전 위기에 몰렸을 때 4자대화기구가 평화적인 대안 정치 체제를 제안했으며 성별이나 정치적 신념 종교와 상관없이 기본권을 보장하는 튀니지의 새 헌법 체계를 만드는 실마리도 제공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튀니지는 중동ㆍ북아프리카발 민주화 혁명인 ‘아랍의 봄’의 진원지다. 튀니지는 2010~2011년 재스민 혁명을 통해 네 엘 아비 지네 벤 알리 대통령의 23년 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화를 이뤄냈으나 이후 들어선 엔나흐다 정권이 정책 실기를 거듭하며 사회 전체가 어려움을 겪었다.

튀니지 시민 집회 전경

정치인 암살 등 사회 불안이 극에 달했던 2013년 여름 일반노동조합(UGTT) 산업-무역-수공예연맹(UTICA) 튀니지 인권연맹(LTDH) 튀니지 변호사단체(ONAT) 등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4개 단체로 구성된 4자 대화기구가 처음 꾸려졌다.

대화기구는 정치 분쟁을 거듭하는 여야 양측을 한 테이블에 앉혔고 6개월 이상 협상을 거듭한 결과 조기 총선과 새로운 헌법 제정 합의를 끌어냈다.

지난 1월 의회에서 94%의 지지로 통과된 튀니지 헌법은 아랍 국가 가운데 가장 진보적이라고 평가된다. 이 헌법은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지만 다른 아랍 국가들과 달리 이슬람 율법은 법에 명시하지 않았으며 신체의 자유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했다.

위원회는 “튀니지의 민주화 열기(아랍의 봄)는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북아프리카와 중동 국가로 번졌으나 지금 튀니지를 제외한 다른 나라는 모두 다시 과거로 회귀했거나 여전히 투쟁 중이다”라며 “하지만 튀니지는 인권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역동적인 시민 사회를 기초로 민주적 전환을 만들어 냈다”고 전했다.

위원회는 “올해 노벨평화상이 튀니지의 민주주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튀니지의 민주주의가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영감을 주길 기대한다”며 “험난한 과정을 뚫고 국가 단체를 만들어 낸 튀니지 국민을 격려하고 이 단체가 다른 나라들이 따라야 할 표본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