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박유하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대학교수 등 연구자 380명이 “학문적인 논의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주장했다.
2013년 출간된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매춘부’ ‘일본군 협력자’ 등으로 묘사해 논란을 일으켰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 9명은 지난해 민사소송을 제기했고, 지난 2월 법원은 “일본군 위안부를 ‘군인의 전쟁 수행을 도운 애국 처녀’ 또는 ‘자발적 매춘부’로 표현한 부분을 책에서 삭제하지 않으면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나 인격권에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판결했다. 검찰은 지난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허위사실을 서술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박 교수를 불구속 기소했다.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교수 등은 9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문적인 논의 속에서 문제의 실체를 확인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박 교수와 ‘제국의 위안부’를 지지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개토론회 개최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연구자의 저작에 대해 법정에서 형사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단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번 검찰 기소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소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기소에 대한 평가는 신중해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위안부 피해자 유희남(87) 할머니,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 등이 참석해 “위안부 피해자 당사자들의 목소리는 묻힌 채 연구자들만 공방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학자들이 학문적인 논의를 운운하며 검찰 기소에 대해 평가를 유보하는 것도 사실상 기소에 반대하는 것으로 비친다고 비난했다.
박유하 교수는 지난 2일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의 비인권적인 조사와 기소에 강력 항의한다”고 반발했다. 이어 소설가 장정일, 유시민 전(前) 보건복지부 장관 등 190여명이 박 교수의 형사기소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사법부가 나서서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여론을 국가 통제하에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