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SKY(서울대·고대·연대)도 세계 무대에선 '우물 안 개구리'였다. 국내 대학 중엔 세계 톱 10 안에 드는 '명품(名品) 학과'가 제로(0)였다. 싱가포르·홍콩·일본의 주요 대학들이 학과별 톱 10 안에 줄줄이 이름을 올리며 영미권 일류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과 대조적이란 지적이다.
'2016 QS 세계 대학 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국내 대학 중 세계 10위 내에 든 학과가 한 곳도 없었고, 현대언어학(영어를 제외한 언어) 학과에서 서울대 16위, 사회정책·행정학에서 서울대 17위, 재료과학에서 카이스트 18위 등을 차지한 것이 가장 우수한 성적이었다.
◇한국 대학, 이공계 강했지만 톱 10 진입 못 해
한국 대학들은 지난해에 이어 화학공학과 IT 등 이공계 분야에서 강세였지만 세계 톱 수준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200위 안에 든 국내 대학 숫자로 따지면 가장 경쟁력이 높았던 학과는 화학공학으로 지난해에 이어 국내 10개 대학이 세계 톱 200에 이름을 올렸다. 기계·항공공학(9개), 전기·전자공학(8개)·재료과학(8개)·화학(8개) 등의 학과도 200위 안에 많이 포진했다. 주로 이공계 학과에서 200위 내 성적을 낸 학과가 많았다.
다만 국내 대학이 강세였던 화학공학에서도 카이스트 순위가 작년 17위에서 올해 19위, 서울대 19→20위, 포스텍 43→45위 등으로 소폭 떨어졌다. 공대 7개 평가 대상 학과 가운데 카이스트는 5개 학과에서 서울대 공대를 앞섰다. 나머지 2개 학과(건축학, 자원공학)는 카이스트에 딱 맞아떨어지는 관련 학과가 없어 평가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카이스트 측 설명이다. QS는 이번 학과별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6개 많은 총 42개 학과를 평가했다.
◇다른 아시아 대학은 날았다
우리 대학들이 고전하는 사이 아시아 주요 대학들은 하버드·MIT 등 같은 세계 유수 대학과 대등하게 경쟁하는 것으로 나왔다. 가장 눈에 띄는 아시아권 대학은 싱가포르국립대(NUS)로 10위 안에 13개 학과가 이름을 올렸다. 홍콩대는 치의학에서 세계 1등을 차지하는 등 6개 학과가 톱 10에 진입했다. 도쿄대의 경우 현대언어학(7위), 화학(8위) 등 5개 학과가 톱 10 안에 들었으며, 중국에선 칭화대·베이징대가 톱 10에 각각 3개, 2개 학과씩 이름을 올렸다. 전문가들은 "우리 대학들이 정체하는 사이 다른 아시아 국가 대학들과 경쟁력이 더 벌어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반적으로 학과별 최상위권 대학은 미국·영국 대학이 많았다. 1위를 가장 많이 차지한 대학은 미국의 MIT와 하버드대로 각각 12개 학과씩이었다.
[[키워드 정보] 영국의 글로벌 대학 평가기관인 QS란?]
◇지방 국립대들 글로벌 순위에 올라
비록 글로벌 최상위권은 아니었지만 일부 사립대와 지방 거점 국립대들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평가다. 200위 내 학과 순위에 고려대(33개)·연세대(32개)의 이름이 여전히 많았던 가운데 성균관대는 경영학은 물론 화학 등 이공계 분야에서도 고루 선전했고, 한양대도 전통의 이공계뿐 아니라 회계·재무학 등에서 2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지방 거점 국립대 중엔 부산대가 약학 등에서 200위 내 성적을 기록한 것을 비롯, 경북대(기계·항공공학)·충남대(약학)·전남대(농·임학) 등도 200위 내 성적을 낸 학과가 나왔다. QS의 마틴 잉스(Ince) 학문자문위원장은 "한국 대학들은 총 42개 평가 학과 가운데 40개 학과에서 2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면서 "이공계뿐 아니라 현대언어학이나 사회정책·행정학 등 인문계에서 강점을 보인 것이 눈에 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