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교육 기업 에듀케이션 퍼스트(EF)가 지난해 발표한 '국가별 영어 구사 능력 순위'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70국 중 27위였다. 전년도보다 3계단 하락했고, 같은 아시아권인 싱가포르(12위)나 말레이시아(14위), 인도(20위)보다 순위가 낮았다. 일본(30위), 중국(47위)보다는 약간 높았다. EF는 "한국의 1인당 영어 사교육 지출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영어 능력은 향상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한국인은 영어 사교육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있다. 정부의 2015년도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생은 지난해 영어 사교육에 5조9779억원을 지출했다. 미취학 아동·대학생·취업 준비생이 쓴 비용까지 합하면 영어 사교육비는 10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교육계에서 추정한다.
올해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리나라 상위 대학 10곳의 졸업생 평판도 평균 순위는 29.8위로 일본(25.5위)보다 낮았다.
전문가들은 "한국인 대부분이 영어를 의사소통 목적이 아니라 학교 성적 올리기 수단으로써 공부하기 때문에 '점수'는 올라도 실력은 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중학교 영어 교사는 "채점하기 편한 문법과 독해 위주로 영어 수업과 시험이 이뤄져, 학교에서 배운 영어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성범 서강대 영미어문학과 교수는 "영어 교육에 확실한 목적과 방향성을 세우지 않으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학습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