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일부 학교가 교육부 역사 교과서(국정교과서)를 보조 교재로 신청했다가 경기도교육청이 야당 국회의원 요청으로 '현황 파악'에 나서자 전부 주문을 취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도교육청은 8일 "교육부에 국정 역사 교과서를 보조 교재로 신청한 도내 학교 13곳(중학교 4곳, 고등학교 9곳)이 지난 며칠 새 모두 신청을 취소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6일 유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도내 보조 교재 신청 학교를 파악해달라"고 자료를 요청하자, 학교들을 상대로 현황 파악에 들어갔다. 교육청 관계자는 "국회의원 요청으로 관내 학교들에 보조 교재 현황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을 뿐 교육청이 신청 학교 파악을 주도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교육청에서 현황 파악을 시작하자 경기도에서 보조 교재를 신청했던 학교 13곳 모두 6일부터 8일까지 "보조 교재 신청을 취소하겠다"고 교육청에 통보했다. 경기도교육청은 "학교들이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신청했다가 여론 등을 우려해 취소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소한 한 학교는 "도교육청이 보조 교재 신청 여부를 제출하라고 하는 등 사실상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국정 역사 교과서에 반대해온 시도 교육청들이 '보조 교재 신청 학교 현황을 파악하겠다'고 나서면 학교들은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조 교재를 신청한 서울의 한 학교장은 "교육청이 국회의원 이름을 앞세워 일선 학교들에 자료 제출을 강제하는 것은 의도가 너무나 비교육적"이라며 "외부 세력까지 가세해 학교를 압박해 학교 자율권을 훼손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지난주 유일하게 보조 교재를 신청했던 한 사립고(광주 대동고)가 광주시교육청이 사실 확인에 나서자 7일 보조 교재 신청을 취소했다. 학교 측은 "별다른 의도 없이 신청했는데, 문제가 커져 신청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전교조 광주지부는 8일 성명을 내고 "5월 광주의 진실을 은폐한 교과서를 학교 도서관에 비치하려 한 교육부와 한국사립초중고법인협의회, 광주 대동고 관리자들의 반민주 독재 폭거를 규탄한다"며 학교 측의 사과를 요구했다.

한편 교육부에 따르면 역사 교과서 보조 교재 신청이 지난 3일 마감된 후에도 19개 학교가 추가로 신청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신청한 83개교에서 취소 접수가 완료된 9개교를 빼고 8일 현재 총 93개 학교가 5848권을 신청했다. 또 전국 28개 국립 중등학교와 22개 재외 한국학교에도 교과서가 보급돼 총 143개 학교에 7500권이 배송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