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자극에서 오는 슬랩스틱 코미디도 물론 웃기지만, 가끔은 고도의 지적 자극에서 재미를 느낄 때도 있다. 문·이과를 넘나드는 폭넓은 지식에 고급 영어 실력까지 갖춰야 이해할 수 있는 ‘고급 유머’ 17가지를, 비즈니스인사이더가 21일 소개했다. 본지는 먼저 10가지를 전한다. 후속 기사에서 나머지 ‘고급 유우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 A photon is going through airport security. The TSA agent asks if he has any luggage. The photon says, “No, I'm traveling light.”

해석: 광자(光子)가 공항 보안검색대를 지나고 있다. 미 연방 교통안전청 직원이 그에게 짐이 있는지 물었다. 광자가 말하길 “아뇨, 전 라이트하게 여행하죠.”

웃긴 이유: 광자는 빛(light)의 입자. ‘traveling light’는 ‘(짐 없이) 가볍게 여행한다’는 의미가 있다.

2. Pretentious? Moi?

해석: 내가 허세충이라고? 뭐~?

웃긴 이유: 프랑스어는 오만하고 잘난 체하는 언어의 대명사. 참고로 ‘무아(Moi)’는 프랑스어에서 1인칭 대명사로 쓰인다. (‘무아’는 한국어 ‘뭐’와 비슷하게 들릴 수도)

3. A logician's wife is having a baby. The doctor immediately hands the newborn to the dad. The wife says, "Is it a boy OR a girl?" The logician says, “Yes.”

해석: 논리학자의 와이프가 아이를 낳았다. 의사가 논리학자에게 갓 태어난 아이를 건네자 와이프가 “남자? 아니면 여자야?” 물었다. 이에 대한 논리학자의 대답. “응.”

웃긴 이유: 불 연산(Boolean logic)에서 OR은 논리합으로, 두 명제 중 어느 한 명제만 참이어도 참값을 산출한다.

4. How can you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 chemist and a plumber? Ask them to pronounce “unionized.”

해석: 화학자와 배관공을 구별하는 법? 영어 ‘unionized’를 발음시켜봐!

웃긴 이유: 같은 단어 ‘unionized’에 대해 화학자는 ‘un-ion-ized’, 배관공은 ‘union-ized’라고 발음할 것이다. 각각의 우리말 뜻은 ‘이온화되지 않은’ ‘유니언(노동조합)을 조직하지 않은’이다.

5. Two women walk into a bar and talk about the Bechdel test.

해석: 여자 둘이 술집에 들어가 ‘벡델테스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웃긴 이유: 벡델테스트는 페미니즘 영화 비평 이론으로, 상업영화의 성(性)평등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다. 벡델테스트를 통과하려면 (1) 여자가 두 명 이상 나올 것 (2) 이들이 서로 대화할 것 (3) 그 대화 주제가 남자와 관련된 것이 아닐 것 등의 세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 문장은 비평 용어를 빌면 ‘자기 지시적(self-referential)’인 셈이다.

6. Heard about that new band called 1023 MB? They haven't had any gigs yet.

해석: 신예밴드 ‘1023MB’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니? 아직 ‘기그’도 한 번 없었대.

웃긴 이유: 영어로 ‘gig’는 동음이의어로 그 뜻은 ‘공연’ 혹은 ‘기가바이트(gigabyte)의 준말’이다. “마케팅만 잘 하면 ‘기그’ 할 수도 있겠군.” “그 밴드는 ‘테러블(terrable)’한가 보지.” 등의 번외편도 있다.

7. Heisenberg was speeding down the highway. A cop pulls him over and says, "Do you have any idea how fast you were going back there?" Heisenberg says, “No, but I knew where I was.”

해석: 하이젠베르크가 고속도로에서 과속운전을 하고 있었다. 경찰이 그의 차를 세우고 말하길, “당신이 얼마나 빠르게 차를 몰았는지 알고는 있나요?” 이에 대한 하이젠베르크의 대답. “아뇨, 내가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죠.”

웃긴 이유: 독일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고안한 ‘불확정성의 원리’에 따르면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정확히 측정될 수 없다.

8. C, Eb, and G walk into a bar. The bartender says, "Sorry, no minors.“

해석: 도와 미b, 솔이 술집에 갔다. 종업원이 말하길, “죄송하지만, 미성년자는 출입불가입니다.”

웃긴 이유: ‘마이너(minor)’는 ‘미성년자’ 혹은 음악에서의 ‘단조’를 뜻하는 말. 참고로 C와 Eb와 G는 C마이너 코드의 구성음이다.

9. First Law of Thermodynamics: You can't win.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You can't break even. Third Law of Thermodynamics: You can't stop playing.

해석: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당신은 돈을 못 딴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당신은 본전도 못 얻는다. 열역학 제3법칙에 따르면 당신은 도박에서 헤어 나올 수 없다.

웃긴 이유: 물리학의 열역학 법칙에 대한 미국 시인 앨런 진스버스(1926-1997)의 패러디로, 진스버그의 정리(Ginsberg’s theorem)라고도 불린다.

10. There are 10 types of people in this world, those who understand binary and those who don’t.

해석: 세상엔 10가지 종류의 사람이 있죠. 이진법을 이해하는 사람과 이해 못 하는 사람.

웃긴 이유: 중1 수학 교과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