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 아들의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한 공격이 거세지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2일 "문 후보 아들의 황제 취업·휴직·퇴직에 대해 제2의 정유라 사건이란 말이 계속 나오고 있다"고 했고, 국민의당은 "문 후보는 자신의 아들이 공기업에 특혜 취업된 것에 대해 국민 앞에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했다. 바른정당도 그제 "문 후보 아들 응시 원서 일부가 다른 필체이고 제출 날짜가 조작됐다는 추가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자 문 후보는 2일 "이제 그만하자고 말하고 싶다. 이런 경우에 부산 사람들은 '마, 고마해'라고 한다"고 했다.

문 전 대표 아들은 2006년 12월 공공 기관인 한국고용정보원에 취업했다. 2명 뽑는데 2명이 지원해 경쟁 없이 합격했다. 당시 고용정보원장은 노무현 청와대 시절 문재인 민정수석 아래에서 노동 담당 행정관을 했다. 아들 취업 때 문 전 대표는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이었고 3개월 후 대통령 비서실장이 됐다. 규정상 입사 시험일 15일 전 신입 직원 공고를 해야 하지만 당시엔 원서 접수 하루 전에 공고해 공고 기간이 엿새로 짧았다. 노동부는 2007년 감사에서 공고 기간이 너무 짧아 외부 응시자를 최소화한 뒤 특정인을 채용한 의혹을 갖게 했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이 문제에 대해 이명박 정부 때 실시한 감사를 통해 특혜가 없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는 입장이다. 2010년 실시한 고용정보원 감사에서 2006년 이후 업무 전반을 감사했으나 감사 초점은 다른 문제였고 문 전 대표 아들은 사실상 감사 대상이 아니었다.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을 보면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나 의혹만 갖고 사실인 양 비난할 수는 없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문제는 가차 없이 비난하는 문 전 대표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도 같은 잣대를 적용하는 것이 옳다. 직접 제대로 설명하고 필요하면 관련자들도 내세워야 한다. 오늘 문 전 대표가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되면 아들 문제부터 국민에게 상세히 밝히기 바란다. 들어보고 수긍이 가면 국민이 문 전 대표 말대로 '이제 그만하자'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