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는 24일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에 대해 “아들의 병역면제 판정이 2002년이었는데, 그 뒤로 치료를 위해 노력을 했다. 그러나 그 이듬해 뇌하수체 종양이 발견돼 목숨을 건 뇌수술을 하게 돼서 재신검을 포기했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또 증여세 탈루 의혹에 대해서는 “아들 집 전세금과 관련해 지금까지 해명했던 게 사실이고, 결혼식 비용은 사돈댁에서 냈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 청문회에서 국민의당 김광수 의원이 “고위공직자 자신과 아들의 병역 면제율이 대단히 높다. 희한하게도 (아들의 병역면제 사유인) 불안정성 대관절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병역 면탈에 악용되고 있다”며 “그게 바로 어깨, 무릎 탈구다. 이와 관련해 후보자 아들이 면탈을 받았는데, 정말로 (입대를 위해) 탄원서를 제출했다면, 재신검을 받았으면 되지 않느냐”며 군 면제 의혹에 대해 질문하자 이같이 답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이 신체검사를 받을 당시) 대학 재학생이기 때문에 (병역이) 자동 연기돼 있었는데 일부러 입대하겠다고 해서 (신체검사에) 들어갔다. 군대 가기 싫었다면 뭐하러 그런 일을 하겠느냐”고 했다.

이어 “(아들의) 병역면제판정이 2002년이었는데, 재신검을 마음에 두고 있었다”며 “그러나 이듬해 뇌하수체 종양이 발견돼 목숨을 건 뇌수술을 하게 됐다. 그래서 재신검을 포기했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또 “2002년 무렵은 우리 사회가 병역 문제로 굉장히 예민했던 시기로, 저는 당시 민주당 대변인으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자제분 병역 비리를 공격하는 입장이었다”며 “만약 제가 흠이 있었다면 한나라당에서 내버려두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씀드린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은 고등학교 2학년때부터 어깨 치료를 받았다. 일부러 다친 것이 아니다”며 “같이 운동한 친구들이 증인이다. 만약 허위라면 젊은 친구들이 아 무말 안 했을 리가 없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부실한 자식을 둔 부모 심정을 헤아려 달라. 자식 몸이 이렇다는 게 애비로서 아프다. (아들이) 전신 마취를 7번 받았다”고 했다.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이 “이 후보자는 자제분이 다섯 번에 걸쳐 탈골현상을 겪었다고 말씀하셨는데, 면제 이후에는 한번도 (탈골)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이 후보자는 “수술을 딱 그때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의원이 또 “아들이 면제 판정을 받고 미국으로 바로 어학연수를 떠났다”고 하자, 이 후보자는 “미국으로 어학연수를 갔으나 뇌하수체 종양으로 바로 귀국했다. 어깨 수술의 치료 기간을 겸해 어학 연수를 갔으며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상식적인 선에서 국민들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자는 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이 “아들의 증여세 탈루 의혹이 있는데, (이 후보자는) 아들 집 전세금 3억4000만원 중 아들이 낸 것은 1억원이고 나머지는 며느리가 냈다고 해명했는데 입장이 그대로냐”고 묻자 “큰 틀에서 그대로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 집의 소유주와 아내가 친인척이냐는 질문에는 “전혀 아니다”고 했다.

강 의원이 “결혼 당시 아들이 춘천에서 레지던트로 근무 중이었고, 며느리는 일본에서 공부하고 있었는데 굳이 강남 청담동에 전세를 구할 필요가 있었느냐”고 하자, 이 후보자는 “(아들에게) 좀 더 싼 데 가서 살라고 했지만 제 마음대로 안 됐다”며 “아마도 며느리 친정에 가까운 곳이어서 그쪽으로 가는 게 편하다고 생각한 모양”이라고 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 결혼식 축의금을 전세금에 사용했다는 해명에 대해서는 “부끄럽지만 결혼식 비용을 사돈네가 대줬다. 그 당시 제가 전남지사 선거 중이어서 쪼들리던 시기였다”고 했다. 강 의원의 “축의금을 증여했다면, 증여세를 내야 한다. 증여세를 냈는지 확인했느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사돈 집안 일이라 여쭙지 못했다”고 했다. 이에 강 의원은 “사돈을 설득해 증여세 자료를 제출해달라” 고 요구했다.

아내의 전시회 개최 논란에 대해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앞으로 공직에 있는 동안 어떤 전시회도 열지 않기로 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