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전인 1972년 10월 13일, 우루과이의 한 아마추어 럭비팀이 탄 전세기가 칠레와의 친선경기를 위해 안데스 산맥을 넘다가 추락했다. 탑승자는 모두 45명이었다. 추락 직후 모두 12명이 사망했고, 눈 덮인 안데스 산맥의 깊은 산 속에서 영하 34도의 극심한 추위와 배고픔, 산사태가 이어지면서 수일 내에 17명이 또 숨졌다. 필사적인 구조 노력에도 72일이 흘렀고, 결국 두 명의 생존 탑승객이 10일간의 사투 끝에 산을 넘어 칠레 쪽 마을에 도착하면서 일부 탑승자들의 생존이 알려져 최종적으로 16명이 살아날 수 있었다.
당시 비행기에 남은 음식이라곤 초콜릿 바와 과자 몇 봉지, 그리고 와인 몇 병뿐이었다. 그들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죽은 승객들의 시신을 먹는 것이었다. 구조된 생존자 중 로베르토 카네사는 이후 당시 상황을 담은 ‘어떻게든 살아야 했다(I had to survive)’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이들의 얘기는 1993년 영화 ‘얼라이브(Alive)’로 제작됐다.
그런데 지난 8일, 이 45년 전 사고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에 참석한 한 파이퍼 J-3 경비행기가 우루과이의 수도 몬테비데오 인근 해상에 추락해 2명의 조종사 중 부조종사가 실종됐다고, 현지 매체 엘 파이스가 보도했다. 사고는 안데스산맥 항공기 추락 사고를 추모하기 위한 우루과이·칠레 럭비 친선경기가 열린 다음 날 바비큐 파티를 참석한 뒤 이륙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도중 발생했다.
한편 45년 전 추락 사고 현장에서 생존자들에게 시체를 먹어야 한다고 처음 주장했던 로베르토 카네사 박사도 이날 추모식에 참석했다. 그는 “정말 가슴 아픈 사고”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살기 위해서 친구를 먹어야 했다”고 말했다.
40여 년 뒤, 카네사는 심장질환을 갖고 태어난 아기들을 치료하는 심장병 분야의 유명한 전문의가 됐다. 그는 “안데스 산맥에서의 비행기 추락사고는 내게 앞으로 ‘생명을 구해야 한다’는 소명 의식을 일깨워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