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일 한우데이를 맞아 그 기원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우데이는 지난 2008년 한우협회 등 관련 단체들이 한우 소비 촉진을 위해 정한 기념일이다. 한우데이가 11월 1일로 정해진 이유는 한자 '소 우(牛)'에 숨겨져 있다. 한자를 파자해보면 3개의 1이 나오는 사실에 착안해 한우데이 날짜를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FTA 협상이 한우데이 제정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많은 논란이 일었던 2008년에 처음 한우데이가 제정됐다는 주장이다.
한우데이 외에도 특정 날짜에 농·축·수산물 소비 촉진 행사를 여는 '기념일 마케팅'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현재 농·축·수산물 기념일 중 가장 대중 인지도가 높은 것은 3월 3일 '삼겹살데이'다. 삼겹살데이는 2000년대 초 구제역 파동으로 돼지고기 소비가 위축되자 파주연천축협이 처음 제안했다.
5월 2일은 숫자 5, 2와 발음이 유사해 정해진 '오리데이', 9월 9일은 닭의 울음소리에서 착안한 닭고기의 날 '구구데이'다. 각각 오리고기, 계란과 닭고기 소비를 촉진하는 행사가 열린다. '참치데이'도 있다. 2006년 해양수산부와 원양어업협회가 참치와 발음이 유사한 3월 7일을 참치 소비 촉진을 위한 참치데이로 지정했다
한편 각종 유통사들은 한우데이를 맞아 평소보다 한우 제품들을 할인해서 판매하는 등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에서는 등심, 국거리, 불고기 등 여러 한우 부위들을 30%~50% 할인해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