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대학교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나면서 학점계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네이버·다음 등 각종 포털사이트에서는 학점계산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학점계산기' 키워드로 검색한 뒤 인터넷 창에 자신이 취득한 과목별 점수를 입력하면 평균 학점을 계산해준다. 학점계산기 스마트폰 무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학점계산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점수 입력에 앞서 간단한 설정이 필요하다. 먼저 과목을 입력하기 전 자신의 학교 성적 제도를 확인해 4.5 만점 또는 4.3 만점 여부를 설정한다. 여기에 마이너스 점수 (A- 등) 반영 여부도 선택해야 한다. 각 학교 성적 제도에 따라 부여되는 점수 간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해당 과목명을 적고 자신이 취득한 점수와 이수 학점을 입력한다. 전공과목을 별도로 체크한 뒤 전공학점만 따로 계산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학점계산기는 절대적인 학점 평가 기준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학점계산기는 대략적인 자신의 평균 학점을 파악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정확한 성적은 각 학교에서 발급하는 성적 증명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