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국(60)씨는 수년 전 전체 이를 뽑게 돼 위아래 모두 틀니를 사용 중이었다. 그동안 틀니의 불편함을 참아오다가 장씨는 임플란트 치료를 받기로 결심하고 여러 치과를 찾아다녔다. 하지만 그가 찾는 치과마다 잇몸뼈가 부족해 치료를 받을 수 없다는 진단을 내놨다. 틀니를 사용하면서부터 잇몸뼈가 퇴축돼 임플란트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다. 여러 군데 치과를 다녀봤지만 진단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그러던 중 우연히 지인의 소개로 더와이즈치과병원을 알게 됐다.
장씨의 경우 임플란트 치료 시 고난도의 시술이 필요했지만, 더와이즈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진단을 받고 약 1년 동안 치료를 받았다. 그 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수 없을 줄만 알았던 장씨에게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장씨는 "말할 때마다 툭툭 빠지던 틀니의 불편함에서 해방됐고, 그동안 먹지 못했던 갈비나 깍두기 등을 걱정 없이 먹을 수 있어 젊은 시절로 다시 돌아간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무치악 환자, 임플란트 시술 치과 선택 어려워
치아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무치악 상태라고 한다. 무치악 환자들은 임플란트 시술을 받기 위해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치과 선택에 신중하게 된다. 준비된 예산을 훌쩍 뛰어넘는 진료비, 기대하지 않았던 의사의 진단 등에 상처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임플란트가 대중화되면서 가격은 점점 낮아져 저렴한 비용을 앞세워 환자를 유인하는 병원도 적지 않다. 치료 불만족, 임플란트 실패 후 허술한 A/S 시스템, 치과 폐업 등으로 환자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도 늘고 있다.
더와이즈치과병원 임세웅 원장은 "똑같은 무치악 상태라 하더라도 치료법은 아주 다양하게 달라진다. 더와이즈치과병원에서는 무치악 환자를 위해 마련된 치료 계획은 10가지 이상이다. 그중에 환자의 연령, 뼈의 상태, 위턱과 아래턱의 수평적 관계, 안모 평가, 과거의 치료 이력, 희망 사항, 그리고 경제적 여건 등을 최대한으로 고려해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임플란트를 심는 것보다, 환자의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임플란트를 심는 것이 환자를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임플란트는 식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잘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 보철 완성 후에도 자연스럽고 편하게 사용하고 실패 없이 잘 유지되도록 사후관리에도 힘쓰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무치악 환자 치료법,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임플란트 틀니
무치악 환자의 치료법을 크게 구분하면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틀니'로 나눌 수 있다.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는 한 악(顎)당 최소 6개에서 많게는 10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인공치아를 연결해 총 12~14개의 치아를 회복시켜주는 방법이다. 최대한 잇몸뼈가 좋은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데, 뼈가 좋지 않을 경우 치조골 이식술을 통해 뼈를 만들어 시술할 수 있다. 임 원장이 많은 연구 끝에 개발한 TMG(Trans Mucosal GBR)이라는 뼈 이식 기법을 이용하면 시술 기간, 시술 횟수, 통증, 붓기 등 임플란트 시술시 가장 불편한 요소들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
과거에 틀니를 경험해보지 않았거나 틀니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경우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가 적합하다. 틀니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라면 만족도가 훨씬 더 올라간다. 기존 틀니처럼 뺐다 꼈다 할 필요가 없으며 모든 음식을 강하게 누르고 편하게 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으로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가 부담스러울 경우 임플란트 틀니를 고려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틀니는 한 악당 2~4개 정도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특수 장치를 이용해 틀니를 고정해주는 방법이다. 최대한 잇몸뼈가 건강한 곳을 찾아 가능한 추가적인 뼈 이식 시술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고정성 전체 임플란트와 틀니의 조합도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전체 임플란트를 하기에 비용이 부담스러울 경우 더와이즈치과병원의 틀니 제작 방법인 AFPD(Anterior Fixed-Posterior Denture, 앞니 고정성 임플란트+어금니 틀니)를 적용할 수 있다. AFPD 방식은 틀니를 제거해도 8개의 앞니가 고정으로 남아 있으며 입천장 일부가 노출돼 식사 시 맛을 느끼는 데도 도움이 된다. 10년 동안 많은 환자가 비용과 기능, 심미적인 측면에서 고루 만족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고 있는 검증된 치료 방식이다.
임 원장은 "치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기능을 하는 구조물인 만큼 치료를 결정할 때 신중해야 한다. 특히 무치악 상태에서는 치료 계획을 꼼꼼히 잘 세워야 치료가 끝난 이후에도 보철물이나 임플란트 실패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추후 보철물의 형태를 바꾸고자 할 때도 초기 임플란트 위치 설계에 따라 교체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성공률을 고려하며 초기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