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식목일을 이틀 앞둔 4월 3일 세종시 전의면 노곡리 인근 야산에서 열린 나무 심기 행사에서 환경부 직원들이 묘목을 심고 있다.


5일 식목일을 맞아 포털사이트 인기 검색어 상위권에는 식목일과 함께 '식목일 공휴일'이 올라왔다. 식목일을 아직도 '빨간날'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지만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건 10년이 넘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식목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것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이다. 이후 2005년까지 60년 가까이 공휴일로 유지됐다. 다만 1960년엔 정부가 식목일 대신 3월 15일 '사방(砂防)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사방의 날은 흙·모래·자갈이 이동해 발생하는 재해를 막기 위해 나무를 심거나 토목공사를 하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사방의 날'은 바로 이듬해 폐지됐고, 다시 식목일이 공휴일이 됐다.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것은 2006년이다. 당시 정부는 공무원 주5일제 시행으로 관공서 휴일이 너무 많아진다는 지적이 나오자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뺐다. 다만 법정기념일로 변경해 국가·지방자치단체 등의 식목일 행사는 이어지고 있다.

식목일은 미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1872년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식목 행사가 열렸는데, 이후 식목운동을 펼친 스털링 모튼의 생일인 4월 22일을 아버 데이(Arbor Day)로 정해 축제를 연 것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한다.
국내 첫 식목행사는 1911년 4월 3일 조선총독부에서 주관했다. 1946년 미 군정청이 4월 5일을 식목일을 지정했다.
하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로 4월 평균기온이 오르면서 식목일을 앞당기자는 논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4월 5일에 식목행사를 하면 이미 싹이 튼 나무를 심어야 하고, 묘목을 옮겨 심을 때 뿌리 생육에 지장을 줘 나무가 고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시로 식목일 변경이 추진돼 이명박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09년 식목일 변경안이 국무회의에 상정됐지만, 현행 유지로 결론이 났다.

당시 국무회의에서는 '식목일의 상징성과 향후 통일까지 고려해 현행대로 유지하자"는 결론을 내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통일이 됐을 때 개마고원 등 북한 지역까지 고려하면 4월 5일도 이르다는 반론이 반영된 것이다. 4월 5일은 식목일 외에도 다른 역사적 상징성도 있다. 신라가 문무왕 17년 2월 25일 삼국통일을 완수한 날을 양력으로 계산하면 4월 5일이며, 조선 성종이 재위 24년 3월 10일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하늘에 친히 제사를 지내고 밭을 갈았는데 이날 역시 양력으로 바꾸면 4월 5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