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분당에 사는 김모(56)씨는 얼마 전까지 밤마다 어깨 통증이 심해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 처음엔 물건을 들어 올리기 어려운 정도였는데, 시간이 갈수록 옷을 갈아입기도 어려울 만큼 악화됐다. 지인 권유로 병원을 찾은 김씨는 '회전근개 부분 파열' 진단을 받았다. 그는 흔한 '오십견'이라 여기고 찜질만 했던 터라 낯선 병명을 듣고 당황했다고 한다. 다행히 회전근개가 완전히 끊기지 않아 물리 치료 등 비(非)수술 치료로 회복할 수 있었지만, 조금 더 방치했더라면 완전 파열로 수술까지 갈 수도 있었다.
봄이 되면 김씨처럼 어깨 아픈 사람들이 증가한다. 따뜻한 날씨에 활동량이 갑자기 늘면서 어깨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어깨 통증이 느껴지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 송동익 바른세상병원 원장은 "자가 진단을 하다 치료 시기를 놓치고 병을 키우는 환자가 많다"며 "어깨 질환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다르므로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극심한 어깨 통증…밤잠 못 이루는 환자 증가
대표적인 어깨 질환은 '오십견'과 '회전근개 파열'이다. 회전근개 파열은 반복적인 움직임 등으로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근육이나 힘줄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나타난다. 무거운 물건 들기를 반복하는 직업부터 전업 주부까지 다양한 이들에게 발생한다. 배드민턴처럼 어깨를 많이 쓰는 운동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은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나타나는 어깨 통증이다.
두 질환은 모두 팔을 들어 올릴 때 갑작스럽게 극심한 고통이 내리꽂힌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차이가 있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이 단단히 굳어 다른 사람이 도와줘도 팔을 어깨 위로 뻗기 어렵다. 반면 회전근개 파열은 통증이 심하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이 도와주면 팔을 들 수 있다. 회전근개 손상은 손상 받은 힘줄의 방향에 대해서만 운동 제한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오십견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회전근개 파열을 방치했다간 주변 근육까지 손상되고 힘줄이 완전히 파열돼 수술까지 하게 될 수 있다.
◇회전근개 파열, 조기 치료해야 수술 없이 낫는다
회전근개 질환은 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완전히 달라진다. 회전근개가 완전히 끊기지 않았다면, 약물이나 주사,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등 비수술적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회전근개가 끊어졌다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해야 한다. 회전근개 복원술은 관절 내시경으로 병변 부위를 확인해 파열된 힘줄을 봉합하는 치료다. 최소 절개로 진행하므로 출혈량이 적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른 편이다. 끊어진 힘줄을 오래 내버려두거나 파열이 광범위하게 일어나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 인공힘줄을 이식해 치료할 수도 있다.
정구황 바른세상병원 원장은 "오십견과 회전근개 파열은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른 질환"이라며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 통증이 지속되면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고 조기 치료를 해야 수술까지 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역방향 인공관절, 회전근개 파열 및 고령의 가성마비 환자에 '효과'
회전근개 봉합이 불가능하면서 삼각근 상태는 정상인 환자, 나이 많은 가성마비(신경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마비된 증세) 환자들에겐 인공힘줄 이식이 쉽지 않다. 이런 환자에겐 역(逆)견관절치환술(역방향 어깨 인공관절술)이 효과적일 수 있다. 관절 전문 병원인 바른세상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역견관절치환술은 관절 모양과 반대되는 인공관절을 넣음으로써 삼각근이 회전근개 힘줄 역할을 대신하도록 하는 수술법이다. 수술 후엔 파열된 회전근개 힘줄 대신 삼각근이 팔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수술 후 어깨 통증을 줄이고 팔 회전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여우진 바른세상병원 원장은 "역견관절치환술은 고난도 수술이므로 체계적 시스템을 갖춘 병원에서 수술받아야 한다"고 했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 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제공
바른세상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관절 전문 병원이다. 국내 관절 분야 명의(名醫)로 알려진 서동원 원장이 2004년 개원해 현재 7개 과에 전문의 22명, 직원 300여명이 근무 중이다. MRI 3대 등 대학병원급 의료 시설을 갖췄으며, 수술 후 재활까지 책임진다. 전체 병동을 보호자 없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으로 운영해 가족들 간병 부담을 줄였다. 지금까지 바른세상병원을 다녀간 환자는 170만 명이 넘는다. 바른세상병원은 지금까지 SCI급 논문을 포함해 450편 이상의 관절·척추 분야 논문을 발표했다. 서동원 바른세상병원 원장은 "믿고 맡길 수 있는 관절·척추 병원이 되도록 노력한 결과, 바른세상병원이 보건복지부 인증 의료기관이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 병원으로 인정받았다"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세를 지켜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