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정 논란은 K리그의 오랜 골칫거리였다.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지만, K리그는 유독 판정 논란이 잦았다. 자질이 부족한 심판, 심판을 믿지 못하는 구단과 팬, 이를 중재하지 못하는 프로축구연맹이 만든 합작품이었다. 2017년은 불신은 극에 달했다. 3월 서울-광주전에서 나온 오심은 그 촉매제였다. 구단 사장이나 단장은 앞다퉈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결국 연맹은 이 고리를 끊기 위한 칼을 뽑았다. 비디오판독시스템(VAR)을 조기 도입했다.
VAR은 ▶골 ▶페널티킥/노페널티킥 판정 ▶레드카드(두번째 옐로카드 상황은 제외) ▶징계조치 오류(mistaken identity) 4가지 상황에서 한해 주심이 본부석에 있는 비디오를 보고 판정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첨단기술 도입에 부정적이던 국제축구연맹(FIFA)도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 VAR을 도입할 정도로 대세가 됐다. 실제 월드컵 경기 판정 정확도는 VAR 도입 후 99.4%로 시행 전 95.6%보다 크게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탈리아 세리에A, 독일 분데스리가에 이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유럽챔피언스리그 등 유럽 리그도 앞다퉈 VAR을 도입하고 있다.
K리그의 VAR 도입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엄정한 판정에 희비가 엇갈렸다. 도입 첫해 64차례가 적용돼, 43번의 판정이 번복됐다. 결정적 상황에 나온 만큼 VAR의 판정으로 승패가 갈린 것도 여러차례였다. 판정에 대한 불만, 논란도 크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VAR은 만병통치약이 아니었다. 판정 '논란'을 줄이기 위해 등장했지만, VAR은 여러차례 논란을 야기했다. 지난해 9월 전북-대구전이 대표적이었다. 대구의 골이 두차례나 취소되며 해당 구단의 반발을 샀다. VAR로 인해 경기 시간이 늘어난다는 비판까지 받았다.
VAR의 두번째 시즌은 어떨까. 다행히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VAR은 K리그2(2부리그)까지 확대됐다. 9월까지 280경기에서 총 1982개(경기당 7.1개)를 체크해, 101번 판독을 했고, 61번의 판정이 변경됐다. 61번의 판정 변경을 유형별로 분석하면 득점 인정 4회, 득점 취소 12회, 페널티킥 선언 13회, 페널티킥 취소 9회, 퇴장 선언 20회, 퇴장 취소 3회다.
모든 면에서 2017년과 비교해 발전하고 있다. 2017년 127경기에서 11번의 판독 오심(경기당 0.086)이 나왔는데 2018년에는 오심이 21회(경기당 0.075번)로 줄었다. 판독 시간 역시 80초에서 69.5초로 줄었다. 세계 최고의 심판이 모였던 러시아월드컵과 비교해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 판독 시간은 81.9초였던 러시아월드컵을 크게 앞선다. 실제 경기 시간을 의미하는 APT(ACTUAL PLAYING TIME)도 2017년 57분51초에서 58분58초(K리그1 기준)로 늘었다.
K리그의 VAR은 일본 J리그와 중국 슈퍼리그가 벤치마킹 할 정도로 실효성을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결국 VAR 역시 사람이 하는 일이다. 신뢰가 중요하다. 심판들은 'VAR이 해결해주겠지' 라는 안일한 생각 대신 더 좋은 판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동시에 프런트, 코칭스태프, 선수, 팬 등 이해 당사자들의 판정 존중 문화도 필요하다. '나만 피해본다'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 그래서 지금이야 말로 '리스펙트 캠페인'이 필요한 때다.
'리스펙트 캠페인'이란 축구지도자, 선수, 심판, 서포터가 서로 존중할 것을 약속하는 캠페인으로, 영국에서 매년 심판 요원 7000여명이 경기 중 받은 모욕적 욕설과 협박 때문에 심판 생활을 그만두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시작된 캠페인이다. 최근 영국을 포함해 일본과 유럽축구연맹(UEFA)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2014년 K리그도 동참했지만, 최근에는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신뢰만이 VAR을 더 완벽하게 만들 수 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VAR 판정 결과
구분=2017년=2018년
체크수=9.5/경기=7.1/경기
판정변경=2.95경기/1회=4.5경기/1회
오심횟수=0.0086/경기=0.0075/경기
평균 판독시간=80초=69.5초
평균 VAR시간=65초=59.4초
평균 OFR시간=97초=97.6초
▲ 명품 초고반발 드라이버 '10만원대' 마루망 골프우산 증정까지
▲ 김학도 "실명 위기로 8개월간 활동 중단"
▲ 홍석천 "낸시랭, 내 결혼 조언 듣더니…"
▲ "안재모, 몽골 조직 폭력배 납치 사건"
▲ 알몸남, 20대 남성의 은밀한 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