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한·미 정상회담 직후 SNS에 "美와 협력했던 독립운동史 돌아보는 일 매우 의미 있어"

문재인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각) "임시정부 요인들과 광복군 대원들이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이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밝혔다. 이날은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100년째 되는 날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연합군과의 공동작전을 통해 승전국의 지위에 서려 했던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목표는 일본의 항복으로 아쉽게도 달성하지 못했다"면서도 "하지만 임정 요인들과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했다.

이어 "오늘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맞는 뜻 깊은 날"이라면서 "미 연방의회에서는 때마침 임시정부를 대한민국 건국의 시초로 공식 인정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제출했다. 미국과 협력했던 우리 독립운동사의 한 장면을 뒤돌아보는 일도 매우 의미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는 1940년 9월 광복군을 창설했고, 1941년 12월 10일 대일 선전성명서를 통해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 이후 광복군은 영국군과 함께 인도-버마전선에서 일본군과 싸웠고, 1945년 4월 미국 전략정보국(OSS)과 국내 진공을 위한 합동작전을 시작했다"고 했다. 또 "한미 양국은 국내 진공작전을 위해 50명의 제1기 대원을 선발했으며, 대원들은 중국 시안(西安)에서 미 육군특전단의 훈련을 받고 정예요원으로 단련됐다. 대원 중에는 일본군에서 탈영해 7개월을 걸어 충치(重慶) 임시정부 청사에 도착한 청년 김준엽과 장준하도 있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열린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미북 간의 대화 동력 유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며 "한국과 미국은 흔들림 없이 함께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선대의 아쉬움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통한 완전한 광복으로 풀어드릴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초당적 결의안'은 지난 10일(현지시각), 임정 수립 100주년에 맞춰 미 연방의회에 제출된 결의안이다. 공화당과 민주당 의원들이 공동 발의자로 두루 참여하는 초당적 결의안으로, 상·하원 모두에 제출됐다.

해당 결의안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는 1882년 조미수호 통상조약 체결에 따라 외교 관계가 수립된 조선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수립됐으며 이후 해산돼 1948년 8월 15일 한국 정부로 전환됐다'고 하고 있다. 이어 '100년 전 임시정부 수립을 오늘날 대한민국 민주주의 성공, 번영의 토대로 인식한다'고 했다.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미 연방의회의 결의안은 한국 민주주의의 시작을 임시정부로 규정한다"며 "외교와 경제, 안보에서 한미동맹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적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미 정상회담에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배지를 양복 상의에 달고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조기 배지를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