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학보사 ‘서강학보’가 학교 측이 이사회 및 총장 관련 기사 보도를 불허하자 편집권 침해를 주장하며 신문 전면을 백지 발행했다. 총학생회 등은 "학내 언론사에 압력을 행사한 과정을 공개하고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서강학보 백지 발행.

29일 서강학보는 학교 이사회와 총장 관련 ‘재단 기획’기사를 신문에 게재할 예정이었지만, 학교 측이 신문 발행을 승인하지 않았다며 지난 27일 신문을 전면 백지 발행했다. 과거에도 대학가에서는 학내 신문이 '백지 발행'을 통해 학교의 편집권 침해를 항의한 사례가 꾸준히 있었다.

서강학보는 지난 21일 입장문에서 학보 주간교수가 (해당 기사 관련) 설문조사의 신뢰성 문제와, 총장에 대해 적절한 취재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해당 지면 발행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강학보 측은 "총 1034명의 학생이 참여한 설문조사는 커뮤니티의 폐쇄적 성격을 고려하더라도 무시할 수 없는 수치"라며 "정확한 조사를 위해 모 교수에게 직접 자문을 구했고, 중복응답으로 인한 오차 범위를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반박했다.

또 "학교 홈페이지에 공식적으로 명시된 총장의 메일로 연락을 취했다"며 "과거 총장 취재 요청도 같은 메일로 보낸 바 있는데 이번 취재만 학교가 절차를 문제 삼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25일 게시한 양해문에서는 "(학교 측으로부터) 기사에 문제가 있을 경우 법적⋅행정적 처벌을 감행하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다"며 "기자의 신변에 위협을 받을 여지가 크다고 판단해 해당 기사 업로드를 지연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설문조사 기사를 제외한 재단 기획기사 3건은 ‘보다 나은 서강을 위해서’라는 제목으로 학보 홈페이지에 게재됐다. 학교의 특정 입시전형과 교수 임용방식, 법인이사회 구성, 예산 부족 문제를 비판하는 내용이다.

이번 편집권 침해 논란에 총학생회 등이 포함된 서강대 중앙운영위원회는 지난 27일 "학생 기자의 취재권 보호와 언론사 편집에 대한 독립적인 의사결정권을 보장하라"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은 보완 취재를 조언했을 뿐 언론 탄압을 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