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속에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1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2일 나왔다. 1991년 이래 28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2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성인 1005명을 조사한 결과, "일본에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12%라고 발표했다."일본에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비율은 77%였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일본산 제품 불매 운동에 "참여 의향이 있다"는 응답도 67%로 조사됐다. 하지만 국가로서의 일본이나 일본국 정부가 아닌 ‘일본인’에 대한 호감도 조사 결과는 "호감이 간다"(41%)와 "호감이 가지 않는다"(43%)가 이전 조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최근 한일 간 분쟁의 경우 일본 정부 책임이라고 답한 비율은 61%로, 한국 정부의 책임(17%)이라는 응답보다 40%포인트 이상 높았다. 다만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 유일하게 한국 정부 책임이라는 응답이 40%로 일본 정부의 책임이라는 응답(33%)보다 많았다.
한편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지난 1991년 38% 이후 조사에서 부침을 거듭했다.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이듬해인 2003년에는 35%를 기록했고, 일본 시마네현 ‘독도의 날’ 제정 조례안이 통과된 2005년에는 20%로 떨어졌다. 그러다 2011년 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조사에서는 4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5년 광복 70주년 삼일절을 며칠 앞둔 시점 조사에서는 일본 호감도가 17%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20%를 밑돌았다.
설문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1%포인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