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특허 제도 시행후 200만번째 특허를 받은 발명자를 청와대로 초청해 특허증을 직접 전달하고 격려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200만호 특허증 및 100만호 디자인 등록증 수여식'을 하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55분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200만호 특허증 및 100만호 디자인 등록증 수여식'을 하고 200만번째 특허 발명자인 아주대 김용성 교수와 특허권자인 ㈜오름테라퓨틱 이승주 대표와 이야기를 나눴다. 김 교수 등의 낸 특허는 '엔도좀 탈출구조(세포내 흡입에 의해 만들어지는 막주머니) 모티프 및 이의 활용'이라는 특허다. 이 특허는 치료용 항체를 종양세포 내부로 침투시켜 암 유발물질의 작용을 차단하고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바이오 기술이라고 한다. 200만호 특허 등록은 1946년 특허제도가 도입된 이후 73년만의 성과로, 미국·프랑스·영국·일본·독일·중국에 이은 세계 7번째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아직도 우리 특허가 원천기술, 소재·부품 쪽으로 나아가지 못해서 건수는 많지만 질적으로는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요즘 일본과의 사이에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자립화 과제가 우리 경제에 가장 중요한 화두로 대두됐는데, 따지고 보면 특허기술을 둘러싼 일종의 기술패권 다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소재·부품·장비 부분에서 일본이 압도적으로 많은 특허를 출원해 두었기 때문에 후발주자들의 기술 성장에 대해서는 장벽이 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중소기업들이, 특히 벤처기업들이 열심히 노력해서 특허나 지식재산권을 확보할 경우에 제대로 평가될 필요가 있다"며 "대기업들이 함부로 기술을 탈취하지 못하게 그 기술을 보호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좋은 아이디어를 특허내고도)마케팅이나 자금 능력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특허를 담보로 충분히 평가해서 벤처기업의 초기 운용비용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