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화성 연쇄 살인사건’ 피의자 이춘재가(56)가 모방범죄로 결론난 8차 사건(1988년 9월)까지 10건을 모두 범행한 것으로 보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화성 연쇄살인 사건 수사본부는 15일 수사진행 브리핑을 통해 "이춘재가 화성사건 10건을 모두 범행한 것으로 보고, 신빙성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수사본부는 또 화성연쇄살인 사건 외 이춘재가 자백한 4건의 사건도 그의 소행으로 최종 확인했다. 이춘재가 밝힌 추가 범행 4건은 △1987년 12월 수원에서 발생한 여고생 살인사건 △1989년 7월 화성에서 있었던 초등학생 실종사건 △1991년 1월 청주 복대동 여고생 살인사건 △1991년 3월 청주 남주동 주부 살인사건 등이다. 이춘재는 경찰에 이 사건 당시 상황 등을 그림으로 그려가며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일보가 입수한 이춘재의 고교 졸업 앨범 사진(왼쪽). 오른쪽은 화성 사건 당시 몽타주다.

초등학생 실종사건은 1989년 7월 18일 화성군 태안읍에 살던 김모(당시 9세)양이 학교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실종된 사건으로, 같은 해 12월 김양이 실종 당시 입고 나갔던 치마와 책가방이 화성군 태안읍 병점5리에서 발견됐다. 이곳은 9차 화성사건 현장에서 불과 30여m 떨어진 지점이다. 이씨는 초등학생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뒤, 현장 주변에 사체를 암매장했다고 진술했다.

수원 여고생 살인사건은 1987년 12월 24일 여고생이 어머니와 다투고 외출한 뒤, 실종됐다가 열흘가량 뒤인 1988년 1월 4일 수원에서 속옷으로 재갈이 물리고 손이 결박된 상태로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다.

청주 여고생 살인사건은 1991년 1월 27일 청주시 복대동 택지조성 공사장 콘크리트관 속에서 방적 공장 직원 박모(당시 17세)양이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다. 지름 1m 콘크리트관 속에서 발견된 박양은 속옷으로 입이 틀어막히고 양손이 뒤로 묶인 상태에서 목 졸려 숨져 있었다. 포크레인 기사로 일했던 이춘재는 1991년 전후로 화성과 청주 공사 현장을 오가며 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 주부 살인사건은 1991년 3월 7일 청주시 남주동 김모(당시 27세)씨의 집에서 김씨가 양손이 묶이고 입에 재갈이 물린 채 흉기에 찔려 숨진 사건이다.

이들 사건 대부분이 입에 재갈을 물리거나 손을 결박하는 등 범행 수법이 비슷해 동일범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경찰은 우선 화성 연쇄 살인사건 피해자 유류품에서 나온 유전자(DNA)가 이춘재의 것과 일치한 3·4·5·7·9차 등 5건에 대해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나머지 사건에서도 이춘재와 일치한 DNA가 나오면 추가 입건할 방침이다.

한편, 경찰은 "지난 14일 학계와 법조계의 자문을 얻어 이씨를 용의자 신분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했다. 공소시효가 강제수사 등의 실효성은 없지만 수사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