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서는 내년 총선의 주요 변수 중 하나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소를 꼽는다. 박 전 대통령이 형 집행정지 후 출소해 정치행위를 재개할 경우 보수통합 등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 일각의 시선이다. 그렇다면 대통령 탄핵 여론을 주도했던 수도권 유권자들은 박 전 대통령의 출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일단 이번 여론조사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형 집행정지 및 석방’에 대해 ‘반대하는’ 응답자(63.2%)가 ‘찬성하는’ 응답자(33.1%)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아직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수도권 민심이 싸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형 집행을 정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20대(19세 포함)의 경우 형 집행정지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7.5%에 불과했지만 60대 이상에서는 63.4%나 됐다. 30대는 찬성 비율이 14.7%, 40대는 24.4%, 50대는 45.5% 등이었다.

정치성향별로 보면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68.8%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형 집행정지 및 석방에 찬성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13.2%), 정의당(12.1%) 등에서는 찬성 여론이 극히 낮았다. 자유한국당과 박 전 대통령 탄핵 인정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는 형 집행정지 찬성(37.3%)보다 반대(62.7%) 여론이 훨씬 더 높았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박 전 대통령 형 집행정지에 대한 찬성 여론은 보수층(55.2%), 중도층(30.5%), 진보층(12.4%) 순이었다.

‘박 전 대통령의 형 집행정지 및 석방 시 내년 총선에 얼마나 영향이 있을지’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이 넘는 54.2%가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16.8%는 ‘매우 영향이 있을 것이다’라고 답했고, ‘다소 영향이 있을 것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37.4%였다. ‘전혀 영향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19.5%에 불과했다.

‘총선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대답은 지지 정당 여부를 떠나 다 높았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영향이 ‘있을 것’, ‘없을 것’이라는 답이 각각 57.2%, 35.1%였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이 수치가 51.9%, 43.2%로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답이 더 높았다. 이른바 ‘보수 분열’을 노리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공화당 지지층에서는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답이 90%나 됐다.

현재 우리공화당의 경우 박 전 대통령 석방을 기점으로 지지율 반등을 꾀한다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반면, 자유한국당은 또다시 ‘탄핵심판론’의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내년 총선을 ‘정권 심판’ 구도로 이끌어가고 싶은 한국당 입장에서는 박 전 대통령 석방이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큰 반면 여권 내에서는 올 연말 박 전 대통령 출소 카드를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질 수도 있다.

- 더 많은 기사는 주간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