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가 플라스틱 등 쓰레기가 담긴 컨테이너를 미국으로 돌려 보냈으나, 일부만 미국으로 가고 나머지는 우리나라와 인도 등으로 이송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환경단체들이 지난 8월부터 인도네시아에서 미국으로 반송시킨 컨테이너 58개의 행적을 추적해 분석한 것으로, 해당 보고서가 논란이 되자 인도네시아 당국은 사실이 아니라며 부인했다.

1일 로이터통신과 자카르타포스트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도네시아 환경단체 넥서스3와 미국에 본부를 둔 바젤 액션 네트워크의 추적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 내용을 전했다.

지난 9월 인도네시아 관세청이 공개한 쓰레기 컨테이너.

이에 따르면, 당초 미국에서 58개의 컨테이너에 대해 재활용 용지만 싣고 왔다고 인도네시아 당국에서 신고했으나 컨테이너 안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등 폐기물이 발견돼 미국으로 반송 조치됐다. 그런데 이 폐기물 컨테이너 상당 수가 우리나라와 인도로 갔다는 게 이 보고서의 주요 골자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송 조치된 58개 컨테이너 중 12개만 미국으로 돌아갔고 38개는 인도, 3개는 한국으로 각각 이송됐다. 나머지는 태국, 베트남, 멕시코, 네덜란드, 캐나다로 1개씩 보내졌다.

환경 단체들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불법 플라스틱 쓰레기를 원산지로 반환하겠다고 약속하더니 다른 나라로 보내는 것을 허락해 더 많은 나라를 희생시켰다"고 비판했다. 또 "인도네시아 공무원들이 불법적인 세계 폐기물 밀매 게임에 관여했다"고 비난했다.

인도네시아가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금지하는 바젤협약 당사국인데, 이를 어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인도네시아 당국은 이런 환경단체의 주장에 대해 부인하고 있다. 또 미국 당국이 인도네시아 유해 폐기물 불법 수출을 동의했는지 등에 대해선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자카르타포스트 등 외신들은 전했다.

인도네시아 세관 당국은 "반송 조치한 컨테이너 일부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 머무는 것을 확인했다"면서도 "다른 아시아국에 수출하도록 하진 않았다"고 주장했다.

인도네시아 환경부는 "반송 조치한 폐기물을 받아들이지 않는 나라가 있다면 바젤협약에 따라 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국이 지난해 폐플라스틱 수입을 중단하자 선진국들이 동남아시아 국가로 폐기물을 수출하면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올 초부터 자카르타 인근과 수라바야, 바탐섬 항구에서 컨테이너들을 조사해 2000개 이상의 쓰레기 컨테이너를 적발했다. 9월 중순 기준으로 반송을 결정한 컨테이너만 500여개로 총 331개를 미국과 호주, 프랑스, 홍콩 등으로 반환했고, 나머지는 서류 작업이 끝나는 대로 돌려보내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