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 당권파, 범여 군소 정당들이 23일 합의한 대로 선거법이 개정되면, 정의당처럼 지역구 당선자는 극소수이면서 전국적으로 고정 지지층이 있는 당은 준(準)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더 많이 가져가게 된다. 그러나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위성 정당'을 만들어 비례대표 선거를 맡길 경우, 이들의 전체 의석수는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본지는 '4+1 협의체'가 합의한 선거법에 따라 총선이 치러질 경우 '비례한국당' '비례민주당'의 등장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가 지난 16~20일 전국 성인 25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당 지지율 조사(신뢰 수준 95%, 표본 오차 ±2.0%포인트,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대로 유권자들이 비례대표 선거 투표를 했다고 가정했다. 또 한국당이 최근 의원직 상실형 확정으로 잃은 의석 5석을 그대로 갖고 있고, 지역구 의석 분포는 지금과 같다고 가정했다.

민주당·한국당이 위성 정당을 출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선거가 치러지면 정의당이 가장 큰 수혜를 입는다. 정의당은 지역구는 2석에 불과하지만, 비례대표를 현재 4석에서 12석으로 크게 늘리면서 전체 의석수가 14석이 된다. 그러나 한국당이 이른바 '비례한국당'을 만들어 지지자들이 모두 비례대표 선거에서 비례한국당에 투표하게 하면 정의당의 의석 증가 효과가 거의 사라진다. 비례한국당이 전체 비례대표 의석의 60%가 넘는 29석을 독차지하면서 '한국당+비례한국당'의 의석수는 지금보다 오히려 12석 늘어난 125석이 된다. 민주당이 한국당에 대응해 '비례민주당'을 만들 경우, 정의당 의석은 지역구 2석에 비례대표 3석으로 지금보다 오히려 1석 감소하게 된다. 반면 비례민주당이 전체 비례대표의 절반가량인 24석을 차지하면서 '민주당+비례민주당'은 지금보다 11석 늘어난 140석을 차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