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의심 환자 격리할 방법 없어 무작정 퇴원
中 우한 다녀온 여학생은 의료진 무시하고 번화가 활보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폐렴이 확산하는 가운데 홍콩에서 격리 치료를 거부하고 길거리를 활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홍콩 명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한 중국 본토 여성이 발열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홍콩 완차이 지역의 한 병원을 방문했다. 이 여성은 지난 3일 우한을 방문했던 여성으로, 검사 결과 흉부 엑스레이 검사 결과 왼쪽 폐에 음영(陰影)이 있는 것이 발견됐고, 의료진의 권고로 입원했다.
하지만 이 여성은 이날 저녁 "호텔에 어린 딸을 놔두고 왔다"며 퇴원을 요청했고, 병원 측은 보건 당국에 문의 후 어쩔 수 없이 이 여성을 퇴원시켰다. 명백한 위험성이 있는데도 이 여성을 퇴원시킬 수 밖에 없는 것은 우한에서 발생한 폐렴이 아직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지 않아 격리 치료를 강제할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법정전염병은 전염력이 강하고 사망률이 높아 의심 환자 신고와 격리 치료를 의무화한 질병을 말한다. 이후 당국은 이 여성이 투숙했다고 주장한 호텔에 연락했지만, 호텔 측은 해당 여성이 투숙하거나 예약한 기록이 없다고 밝혔다.
같은 날 오전에도 홍콩중문대에 다니는 본토 출신 여학생이 우한을 다녀온 후 발열 등의 증상이 생겼다며 사틴 지역의 한 병원에서 진찰을 받았지만 격리 치료를 권하는 의료진의 얘기를 무시하고 여학생은 병원을 나와 10시간 동안 몽콕 등 홍콩 번화가를 돌아다녔다.
일각에서는 ‘사스’로 의심되는 정체불명의 폐렴 가능성의 환자들이 이처럼 거리를 활보하자 거센 비판 여론이 일었고, 당국은 부랴부랴 법규 개정에 나섰다. 홍콩 당국은 이번 주 내에 관련 조례를 개정해 '심각한 신형 전염성 병원체로 인한 호흡기 계통 질병'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 우한 폐렴과 관련된 환자의 신고와 격리 치료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한편 최근 14일 이내 우한을 다녀왔다가 발열, 호흡기 감염, 폐렴 등의 의심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전날에도 6명 추가로 발생해 우한 폐렴과 관련된 홍콩 내 의심 환자의 수는 총 21명으로 늘었다.
특히 홍콩중문대에서는 최근 우한에서 공부하다가 돌아온 홍콩 학생과 2명의 중국 본토 출신 학생이 상기도감염(上氣道感染)과 기침 등의 증상을 보여 격리 치료를 받았다. 상기도감염은 코와 목구멍의 감염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부비강염 등이 있다.
의학계에서는 이번 정체불명의 폐렴이 과거 중국과 홍콩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던 ‘사스’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02년 말 홍콩과 접한 중국 광둥(廣東)성에서 처음으로 발병한 사스는 곧바로 홍콩으로 확산해 감염된 홍콩인 1750명 가운데 299명이 사망했다. 중국 본토에서는 5300여 명이 감염돼 349명이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