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2013년 경기도 안성에 조성한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 매년 2000만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70%가 윤미향 전 상임대표의 부친에게 인건비 명목으로 배정됐다.

지난 2013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지정기부금을 받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로 사용하기 위해 매입했다 지난 23일 매각한 경기도 안성의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

정대협은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부한 10억원 중 8억5000만원을 들여 2013년 9월 안성시 금광면의 부동산을 매입하고,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으로 운영했다. 애초 할머니들을 입소시켜 ‘힐링센터’로 운영할 예정이었지만, 정작 할머니들은 거의 드나들지 않고 윤 전 대표의 부친만 관리인으로 상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정대협은 2016년 하반기부터 쉼터 매각을 추진했다. 하지만 매각을 추진하면서도 정대협은 쉼터에 ‘힐링센터 지원’ 명목으로 매년 2000만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왔다. 정대협의 국세청 공익법인 결산서류에 따르면 정대협은 2014년 1814만원, 2015년 1912만원, 2016년 1973만원, 2017년 1921만원 등 4년간 총 7584만원을 쉼터와 관련해 지출했다.

하지만 이 예산의 대부분은 쉼터를 관리하던 윤 전 대표의 부친에게 돌아갔다. 정의연의 해명에 따르면 윤 전 대표 부친은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관리비·인건비 명목으로 월 120만원을 받았다. 단순 계산으로 7584만원 중 총 6380만원이 윤 전 대표 부친의 인건비에 들어간 셈이다.

정의연은 16일 설명자료를 통해 윤 전 대표의 부친에게 쉼터 관리를 맡긴 것에 대해 “사려 깊지 못했다고 생각한다”며 사과했다. 논란이 불거진 이후 정의연 측의 첫 공식 사과였다. 윤 당선인 부친에게 예산 대부분이 지급됐다는 지적에 대해선 “18일 설명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