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4일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원구성 협상을 시작했다. 첫날부터 법제사법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직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법사위는 법률안의 자구·체계 심사권을 갖고 있어 일종의 ‘상원’역할을 할 수 있고, 예결위는 예산결산 심사권을 바탕으로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미래통합당은 행정부 견제를 위해 법사위와 예결위를 모두 야당이 가져아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도 법사위와 예결위원장은 야당 몫이다.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 "행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차원에서 보면 법제사법위원회와 예결위원회의 위원장을 전부 야당이 가져야 한다"며 "여당도 180석을 갖고 있어서 예결위원장을 야당이 맡아도 여당이 국회에 의사를 전달하는 데 지장이 없을 걸로 안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여당이 177석을 얻었기 때문에 하고 싶은 것을 다 하려고 하면 제때 되지 않을 것이고 정말 소수 의견을 존중하고 국회의 대통령 권력을 견제하는 본질적 기능을 잘 고려하면 협상이 잘 될 것이고 그러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후반 국정운영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법사위와 예결위를 야당에 넘겨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이날 통합당이 법사위 및 예결위원장 등을 요구하는 것에 "야당 입장에서는 견제를 위해 여러 고민을 할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민주당에 177석의 엄청난 무게감과 책임감을 준 명령은 국민의 삶을 챙기라는 것이다. 이게 더 큰 명령"이라고 했다. 법사위와 예결위원장 둘 다 양보하기는 쉽지 않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