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1000m 결승은 금메달을 점칠 수 없는 경기였다. 한국의 안현수를 비롯해 미국의 안톤 오노, 중국의 리자쥔이 올라왔기 때문이다. 반면 호주의 스티븐 브래드버리는 꼴찌가 분명했다. 예선에서 다른 선수들이 넘어지거나 실격한 바람에 운으로 올라온 선수였다. 그런데 결승 마지막 코너 구간에서 선두 네 명이 얽히면서 모두 넘어져 버렸다. 멀찌감치 뒤떨어져 있다 결승선을 1착으로 끊은 브래드버리는 호주는 물론 남반구 첫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챙긴’것이다.

▶이 말은 고생하는 사람 따로, 챙기는 사람 따로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청나라 곡마단 구경을 한 사람들이 만들어 낸 말이라고 한다. 되놈은 중국인을 비하하는 말로, 병자호란 등을 겪으면서 생겨났다. '왜놈은 얼레빗, 되놈은 참빗'이라고 할 정도였다. 일본인은 성긴 빗으로 긁어가고 중국인은 참빗으로 싹싹 쓸어간다는 뜻이다.

▶엘비스 프레슬리는 한 해 500만달러씩 벌었는데 숨진 뒤 그의 통장에 생각보다 잔액이 많지 않았다. 그의 매니저 커널 파커가 엘비스의 수입 절반을 빼돌렸기 때문이었다. 엘비스는 한 번도 외국 공연을 하지 않았다. 네덜란드 출신 불법 체류자로 미국을 떠날 수 없었던 파커가 "미국에서 충분히 벌 수 있으니 월드 투어를 할 필요가 없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엘비스 장례를 마친 날에도 뉴욕으로 날아가 기념품 판매 계약으로 수천만 달러를 벌었다.

▶얼마 전 배달대행업체 '배달의 민족'이 수수료를 월 정액제에서 주문 금액의 5.8%로 바꾸겠다고 밝혔다가 된서리를 맞았다. 코로나 사태 와중에 사실상 수수료를 올렸다는 이유였다.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챙긴다더니…" 하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대선 댓글 조작 사건으로 구속된 드루킹은 자신을 수사 의뢰한 네이버에 대해 "네이버는 댓글 조작 프로그램을 알면서도 방치해 광고 수익을 올렸다"며 "되놈이 곰을 고소한 것"이라고 했었다.

▶이용수 할머니가 윤미향씨와 정대협에 대해 “30년간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챙겼다”고 했다.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주겠다며 여기저기 행사에 데리고 다니면서 모금한 돈은 개인 계좌로 챙겨 어디 썼는지 모르니 그 말이 딱 맞아떨어진다. 피해자 아닌 사람들이 30년간 상석을 차지해왔는데 우리 사회 누구도 해야 할 말을 하지 않았거나, 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