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왼쪽사진)와 신동호 청와대 연설비서관


진중권 전 교수와 청와대 참모 출신 여권 인사들이 자작시(詩)까지 쓰면서 연일 설전을 벌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이 써준 연설문을 읽는다"는 진 전 교수의 발언에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사실이 아니다"며 맹공을 편 가운데, 문 대통령의 연설문을 맡는 현직 청와대 연설비서관까지 나서 시를 쓰며 진 전 교수를 공격한 것이다. 진 전 교수도 즉각 답시를 발표하며 반격에 나섰다.

발단은 진 전 교수가 지난 10일 국민의당이 연 '온(On)국민 공부방'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남이 써준 연설문을 읽는 의전 대통령이다"는 발언을 하면서다.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은 "자기가 보지 않은 사실을 상상하는 건 자유이지만, 그걸 확신하고 남 앞에서 떠들면 뇌피셜"이라며 비판했다. 하승창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최우규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도 "내가 해봐서 아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비판 대열에 동참했다. 이에 대해 진 전 교수는 "유치하다"고 맞받았다.

이런 언쟁은 윤 의원이 11일 새벽 "진 전 교수의 관심 전략에 넘어가 죄송하다"고 하면서 마무리 되는 듯 했다. 그러나 신동호 청와대 연설비서관이 몇 시간 뒤 페이스북에 자작시(詩)를 올리면서 재점화 됐다. 신 비서관은 기형도 시인의 '빈 집'을 변주해 '빈 꽃밭'이라는 시를 올렸다. 신 비서관은 강원고 3학년 학생이던 1984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한 시인이다.

"꽃을 잃고, 나는 운다 / (…중략…) / 꽃을 피워야할 당신이 꽃을 꺾고 / 나는 운다, 헛된 공부여 잘 가거라 / 숭고를 향해 걷는 길에 당신은 / 결국 불안을 이기지 못 하고 주저앉았지만 / 꽃을 잃고, 우리는 울지 않는다"

신동호 페이스북


'빈 집'의 첫 구절인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를 '꽃을 잃고 나는 우네'로 시작하며 변주한 것이다. 신 비서관은 이 시를 올리면서 "어느 날 아이가 꽃을 꺾자 일군의 사람들이 박수를 쳤다. 아이는 더 많은 꽃을 꺾었고 급기야 자기 마음속 꽃을 꺾어버리고 말았다"고 했다. 대표적인 진보진영 인사였던 진 전 교수가 문재인 정부를 연일 비판하며 화제가 되자, 이를 비유한 것으로 해석됐다.

그러자 진 전 교수는 곧바로 페이스북에 "우리 정치에도 아직 낭만이 살아 있다"며 "받았으니 저도 예의상 답시를 써 드려야겠다"고 했다. 진 전 교수가 올린 답시는 이렇다. 제목은 '빈 똥밭', 부제는 '신동호(비서관)의 빈꽃밭을 기리며'다.

"어느날 아이가 똥을 치우자 / 일군의 파리들이 아우성을 쳤다 /아이는 더 많은 똥을 치웠고 /급기야 그들 마음 속의 똥을 치워버리고 말았다/ (…중략…) / 출세 하나를 위해 기와집으로 기어들어 간 / 예술혼이여 맘껏 슬퍼해라"

진중권 페이스북

여권 인사들과 그들의 행태를 ‘똥’ ‘파리’로 비유해 비판한 것이다. 진 전 교수는 신 비서관이 기형도 시인의 ‘빈 집’을 패러디한 것을 두고 “아이는 문득 기형도가 불쌍해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