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에 대해 사과하며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이라고 했다. 청와대 대변인도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이라고 했고, 민주당 여성 의원들도 성명서에서 '피해 호소 여성'이라 했다. 이낙연 의원은 '피해를 호소하시는 고소인'이라 했고 서울시는 '피해 호소 직원'이라고 했다. 심지어 인권 침해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가인권위원회마저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썼다. 여권 전체가 짜맞춘 듯 박 시장 성추행 피해자를 두고 '피해 호소인'이라고 한 것이다.
여권은 "박 시장 혐의가 확정되지 않은 만큼, 고소인을 아직 '피해자'라고 부를 수 없다"고 했다. 하지만 안희정 전 충남지사, 오거돈 전 부산시장 사건 때는 발생 직후부터 피해 여성을 '피해자'라고 했다. 이전 '미투(Me too) 폭로' 때도 피해자라고 했다. 그런데 이번 사건에서는 '피해 호소인'이란 생소한 용어를 찾아내 사용한다. 박 전 시장 성추행을 사실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말장난이다. 이 말장난은 피해가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의미를 품은 것으로 피해자에 대한 정면 공격이다. 제 가족이 피해를 당해도 피해 호소인이라고 하겠는가.
이 정권 사람들은 상황을 호도하고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상습적으로 말장난을 해왔다. 환경부 등이 전 정권 뺨치는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두고 자기편 아니면 쫓아냈다는 증거가 나왔을 때 청와대는 "블랙리스트가 아니라 체크리스트"라고 했다. 탈원전으로 한국 원전산업을 몰락시켜놓고 탈원전이 아니라 '에너지 전환'이라고 했다. 북한 미사일은 "불상 발사체"라고 한다. 북한이 미사일이라는데 우리만 미사일이라고 하지 않았다.
코로나 사태 초기 정부는 '우한 코로나'라는 말은 못 쓰게 하면서 '대구 코로나'라는 말을 보도자료에 올렸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측이 검찰 압수 수색 전 연구실 PC를 빼내 숨긴 것을 두고 "증거 인멸이 아니라 증거 보전"이라고 했다. 이후 재판에서 증거 인멸 혐의는 유죄로 인정됐다. 권력의 말장난은 진실을 감추고 국민을 속이려는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