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대다수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확산된 언택트(비대면) 채용 방식이 코로나 사태 안정화 이후에도 확산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올 상반기 구직경험자 487명을 대상으로 언택트 채용 경험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다.
설문조사 참가자 가운데 언택트 채용을 경험해 본 비율은 75.4%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접한 언택트 전형으로는 '화상면접'(50.6%)이었다. '인적성 검사, 온라인필기시험'(20.3%), 'AI면접'(19.8%)이 뒤를 이었다.
언택트 채용을 접한 구직자들의 반응 '긍정'(65.6%)또는 '생각보다 편리했다'라는 비율이 '부정'(34.4%) 또는 '생각보다 불편했다'는 입장보다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편리했던 이유로는 '교통비, 복장 등 별도의 면접준비 비용을 줄일 수 있었음'(31.7%)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감염 우려를 줄일 수 있어서'(25.8%), '기존 전형보다 간소화돼 시간이 덜 듦'(23.9%), '개인 컨디션에 맞춰 응시환경(시간·장소 등)을 선택할 수 있어서'(18.0%) 등이 꼽혔다.

상반기 구직자 4명 중 3명은 언택트 채용을 경험했다.

반대로 불편했던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됐다. 첫 번째는 '웹캠, 마이크 등 따로 면접환경을 만들어야 해서 번거로움'(31.4%), '통신 장애 등 채용과정 중 변수가 있었음'(22.3%) 등 비대면 환경으로 야기된 불편함이었다. 두 번째는 '면접관의 느낌이나 질문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웠음'(22.3%), '기존 준비해왔던 취업준비와 다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음'(23.2%) 등 비대면 소통 방식에서 비롯됐다.
언택트 채용에 대해 호불호가 갈렸지만, 구직자 대부분은 언택트 채용이 앞으로도 자리를 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코로나 안정화 이후에도 언택트 채용이 확산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 묻는 질문에 구직자 90.6%가 '그렇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