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옵티머스자산운용 설립자 이혁진(53)씨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상태"라고 17일 밝혔다. 이씨는 70억원대 횡령, 상해, 조세 포탈 혐의 등 5개 혐의로 검찰 수사 대상에 올랐다가 해외로 도피해 기소 중지된 인물이다. 해외 도피 전 2018년 3월 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아랍에미리트(UAE) 순방 행사에 동행한 사실이 드러나 '여권 비호설'이 제기된 상태다.
조수진 미래통합당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답변서에 따르면, 법무부는 "고소사건 수사 중 그가 외국으로 출국했다. 체포영장을 발부받았고 현재 지명수배된 상태"라고 했다. 체포영장 발부 시기에 대해선 "수원지검에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로 2019년 7월25일 기소중지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2019년 1월15일 이 전 대표를 70억원대 횡령 혐의 등으로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수원지검은 미국에 머무는 이 전 대표를 국내로 송환하기 위해 법무부에 범죄인 인도 청구를 요청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씨는 현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체류하면서 식음료 사업을 하고 있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한인회 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씨는 샌프란시스코 한인회 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과거 2012년에는 서울 서초갑 민주통합당 후보로 전략 공천되기도 했다. 낙선한 이후 이 전 대표는 같은 해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금융정책특보를 지냈다.
야권은 그가 여권의 도움을 받아 문 대통령의 해외 순방을 따라 도피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조 의원은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하고 지명수배까지 떨어진 이 전 대표가 미국에서 언론 인터뷰를 하고 왕성히 사업까지 하고 있다. 그를 안 잡는 건지 못 잡는 건지 모르겠다”며 “문재인 정부의 ‘윤석열 검찰’ 장악 시도가 결국 이런 검찰을 만들기 위한 것이냐”고 했다.
이 전 대표의 송환이 미뤄지는 이유에 대해 법무부는 “조약과 외교관계상 비밀유지 의무, 향후 절차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답하기 어렵다”며 “국경을 초월하는 범죄에 대한 수사 및 사법정의 실현을 위해 외국 사법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수사당국은 여전히 이 전 대표가 2018년 3월 문 대통령의 순방을 따라 출국했을 당시 어떤 경로로 나갔는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문 대통령이 방문한 베트남과 UAE에 “개인적으로 간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베트남에서 UAE로 이동한 비행기 탑승 증빙 자료를 공개했지만,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출국한 근거에 대해선 침묵하고 있다.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은 “인천공항 등을 통해 출국할 경우 그 기록을 수사당국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기록이 없다면 이건 희대의 미스터리 도주 사건이 된다”며 “청와대는 진실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이혁진씨는 최근까지 각종 사업과 한인회 활동까지 해 수사당국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체포해 국내 송환할 수 있었던 인물”이라며 “지명수배가 이루어진 지 1년이 넘게 지난 인물을 아직도 못 잡은 것은 수사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