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에서 동쪽으로 약 28㎞ 떨어진 백도. 섬 39개가 있는 무인군도이다. 다도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여수시 제공

여수세계박람회가 지역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겼다고 전남 여수시민들은 말하고 있다. 세번의 도전끝에 따낸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여수가 이제 ’2026년 세계섬박람회'를 꿈꾸고 있다. 오는 2023년은 여수개항 100년이 되는 해이다. 선박무역이 출입하는 세관지정항으로 지정된 것을 기점으로 삼고 있다. 오는 2023년 우리나가 개최가 유력한 가운데, 여수시가 ‘COP28’(유엔 주관 국제기후회의)을 개최하기 위해 온 힘을 모으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의 오래된 과제로 ‘여순사건’의 명예회복도 추진하고 있다.

◇ “섬박람회를 열자”

여수는 세계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국제적인 해양도시로 성장하였다. 남해안의 수려한 해양경관은 어딜 가더라도 찬사를 불러온다. 여수가 희망하는 세계섬박람회는 섬을 가진 나라들이 한데 모여 섬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통한 섬의 발전방향을 함께 모색해보자는 것이다.

권오봉 여수시장은 “365개 아름다운 섬과 다양한 해상교량, 교통, 숙박 등 잘 갖춰진 인프라를 바탕으로 섬 관광을 활성화하고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고 말하고 있다. 오는 2026년 7월 17일부터 8월 16일까지 31일간 돌산 진모지구와 도서 일원(개도, 금오도)에서 30개 국가가 참여하는 규모로 계획하고 있다. 이 때 여수를 찾는 관광객을 200만명(내국인 194만, 외국인 6만)으로 잡고 있다. 섬·교량 주제관, 부제관(섬미래관, 섬문화관, 섬생태관), 국제관을 갖추려고 한다. 기간중 섬과 관련한 학술대회, 전시회, 연륙·연도교 투어, 섬체험관광을 계획하고 있다.

여수시는 지난 2007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이 대회를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해 전남도를 거쳐 행안부와 기획재정부에 국제행사(개최)계획서를 제출했다. 행안부는 국제행사 개최 필요성과 역량이 인정되며, 섬발전 청사진을 마련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섬 관광·산업 분야 발전 등의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거쳐, 승인절차가 진행된다.

여수시는 ‘미래로 세계로 하나로’라는 섬섬여수 ‘세계로 3대 시민운동’을 벌이고 있다. 여수시 만덕동 사람들이다.

◇국제기후회의 개최

기후문제는 이제 국제적 현안이다. 지난 2015년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재임 당시 체결된 유엔기후협략은 전 지구적 재앙을 막기 위해 산업화시대 대비 평균 기온 1.5도 이상 상승 억제를 목표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감축을 국가목표로 채택·이행한다는 국제적 합의이다. 이에 따라 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따른 산업의 재편도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은 매년 198개국을 대상으로 COP28을 열고 있다. 오는 2023년 COP28회의 유치를 목표로 여수시가 뛰고 있다. 여수를 비롯, 순천, 광양, 고흥, 구례, 보성(전남), 진주, 하동, 사천, 산청, 고성(경남) 등 남해안 남중권 12개 시·군이 이미 공동유치를 합의하고 추진하고 있다. 최대의 석유화학국가산단, 포스코, 화력발전소가 위치한 남해안 남중권은 기후변화 과제를 안고 있다. 탄소중립과 배출가스 총량제적용 등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개최의 적지라고 여수시는 말한다. 지난 2008년부터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

◇여순사건 명예회복

여수시는 여순사건 당시 지역과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제정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수시는 ‘여수·순천 10·19사건’이라고도 부른다. 여수시는 이를 위해 관련 조례를 지잔 2018년 제정한 바 있다. 각계 대표들이 참여하는 시민위원회를 구성하고,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방문활동도 벌였다. 민간인과 순직경찰 유족대표가 함께 참석하는 희생자 합동 추념식도 지난 2019년 개최했다. 지난해에는 민·관·군·경이 합동 추념식을 하였다. 지난해에는 법원에서 여순사건 유죄 희생자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기도 했다. 현재 국회에는 ‘여수·순천 10·19 피해자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안’이 제출되어 있다. 여순사건 시민추진위를 중심으로 법안 제정 촉구활동을 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