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틴, ‘스타 영양소’로 떠오르다
‘비타민 B의 아버지’로 불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미국의 생화학자 폴 기요르기(Paul Gyorgy·1893~1976) 박사입니다. 헝가리 출신인 그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영국 캠브리지대학 교수를 거쳐 미국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 클리블랜드대학으로 옮겨가며 ‘비타민 B’ 연구에 일생을 바쳤습니다. 비타민 B군(群) 중 B2, B6, B7 등 3종을 그가 발견했습니다. 요즘 그가 발견한 비타민 B7, 즉 비오틴(Biotin)이 ‘스타 영양소’로 뜨고 있습니다. 비오틴은 모발 비타민이자 피부 비타민이면서 피로 회복, 당뇨병 예방과 치료,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도 매우 중요한 영양소라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생화학자들은 머리카락이 빠지고 피부가 손상되는 이유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939년에 기요르기 박사가 최초로 성공했습니다. 그는 동물의 간에서 새로운 영양소를 발견하고 독일어 ‘Haar und Haut’의 이니셜을 따서 ‘비타민 H’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것은 ‘머리카락과 피부’라는 뜻입니다. 체내에 비타민 H가 부족해서 탈모가 생기고 피부나 손톱이 갈라진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비타민 B7 또는 비오틴으로 불리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 H입니다.
◇비오틴은 모발 비타민
모발은 단백질 덩어리입니다. 모발의 대부분(80~90%)이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 성분입니다. 체내에 케라틴 단백질이 부족하면 모발이 가늘어지고 쉽게 빠집니다. 체내에서 케라틴 단백질이 만들어지려면 반드시 어떤 보조 효소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비오틴입니다. 비오틴이 없으면 케라틴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모발은 모낭(毛囊)에서 나오는데, 모낭 역시 주성분이 콜라겐(Collagen) 단백질입니다. 몸에 콜라겐이 충분치 않으면 모발을 지탱하는 모낭의 힘이 약해져 머리털이 빠지고, 빠진 자리에서 머리털이 다시 나지 않습니다. 모낭이 튼튼하려면 콜라겐 단백질이 충분히 공급돼야 하는데, 콜라겐 합성에 결정적인 영양소도 비오틴입니다. 다시 말해 모발과 모낭을 이루는 단백질 성분은 비오틴이 충분해야만 만들어집니다.
◇한국인 대부분 비오틴 결핍
비오틴의 탈모 예방 효과는 확실합니다. 1996년 스위스 연구팀은 6개월간의 실험을 통해 비오틴을 꾸준히 복용한 그룹에서 모발이 25% 이상 튼튼해졌음을 확인했습니다.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진은 “비오틴이 부족하면 탈모가 일어난다”면서 “비오틴은 모발의 강성, 조직 및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소”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탈모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서 2019년까지 5년간 11.3%나 증가했습니다. 한국인은 보통 40대부터 탈모가 시작되는데 최근에는 20~30대 탈모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알고 보니 우리 국민의 대부분(89.5%)이 비오틴 결핍이었습니다. 2015년 보건복지부 조사에서 밝혀진 사실입니다. 비오틴은 장내 세균에 의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되는 영양소인데, 왜 부족한 걸까요? 음주, 흡연,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으로 장내 세균의 밸런스(유익균:유해균=80:20)가 무너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즘 비오틴을 영양 보충제의 형태로 직접 몸에 넣어주는 방법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모발 비타민’의 발견
‘비타민 B의 아버지’로 불리는 생화학자
폴 기요르기(Paul Gyorgy· 1893~1976) 박사는 ‘모발 비타민’을 발견, ‘비타민 H’라고 명명했다. ‘H’는 독일어 ‘Haar und Haut’를 가리킨다. ‘머리카락과 피부’라는 뜻이다. 그 ‘비타민 H’가 오늘날 우리가 비오틴(비타민 B7)이라고 부르는 영양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