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보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나도 모르게 목을 뒤로 쭉 뺀다면 노안(노화로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안 보이는 증상)을 의심해야 한다. 노안이 시작됐다면 빠르게 검진·교정하는 것이 좋다. 눈의 피로, 어지럼증, 두통 등 다양한 동반 증상으로 이어져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정체 탄성·조절력 떨어져
우리 눈 속에는 카메라 렌즈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있다. 수정체는 멀리 보거나 가까이 볼 때 자동으로 두꺼워졌다 얇아졌다하며 보고자 하는 사물에 초점을 맞춘다. 만 45세 전후가 되면 노화로 인해 수정체의 탄성력이 떨어진다. 크기도 커지면서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력이 약해진다. 특히 25~40㎝ 거리에 있는 가까운 사물을 볼 때 초점을 맞추는 시간이 길어진다. 노안이 오면 멀리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볼 때나 그 반대의 경우에 순간적으로 흐리게 보이게 된다. 또 다른 증상으로 신문·스마트폰·책 등을 이용한 근거리 작업이 어려워지고, 눈이 피로하고, 이물감·뻑뻑함 이 느껴지는 것 등이 있다.
◇조명 밝히고, 교정 방법 상담받아야
우리나라 40세 이상 인구 두 명 중 한 명이 호소할 정도로 흔한 노안, 어떻게 교정해야 할까? 노안 증상이 나타나면 먼저 스마트폰의 글씨를 확대하고, 책은 글씨가 큰 것으로 선택하는 등 환경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주변 조명을 밝히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안경사 등 전문가를 방문해 개인에 맞는 교정 방법을 상담받아야 한다.
◇렌즈로도 노안 교정 가능해
노안 교정을 위한 기본적인 선택지로 일명 돋보기 안경이라고 불리는 근거리 시력 교정 안경이 있다. 그러나 미용적인 측면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 사람이 많으며, 원거리를 볼 때는 벗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한 번에 교정할 수 있는 다초점 안경,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등을 사용한다. 다초점 안경은 말 그대로 가까이 있는 사물은 물론 멀리 있는 사물에도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안경이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근거리, 중간 거리, 원거리 시력을 교정해줄 수 있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다. 특히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노안 교정은 주로 전자기기 사용 등 근거리 작업을 할 때 가장 이상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사회 활동이 활발하고 전자 기기 사용이 잦은 젊은 노안 환자나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인 중장년층 노안 환자에게 주로 추천된다. 서울과학기술대 안경광학과 김소라 교수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근거리와 원거리 시력을 한 번에 교정 가능해 편리하며 미용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며 “콘택트렌즈 사용 경험이 있는 노안 인구가 증가할수록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수요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