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만성 소화불량’이라고 생각하는 여러 증상의 원인이 사실 ‘효소 부족’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효소는 음식물을 분해해 소화를 돕고 음식물에서 나온 영양소들을 신체 곳곳에 전달해 몸에 흡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효소가 부족하면 먹고 싸는 활동이 어렵다.

안테나스튜디오 제공

◇효소 없이는 신체의 어떠한 활동도 일어나지 않아

효소가 없으면 신체에 어떠한 활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생명의 근원이라 불리는 효소는 1초에 100만 회에 달하는 활동으로 음식물의 소화를 돕고, 질병을 치료하며,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모든 신체활동을 돕는다. 우리가 몸에 에너지를 불어넣기 위해 먹는 각종 비타민의 또 다른 이름은 ‘조효소’로 효소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을 아무리 많이 먹어도 효소가 없으면 효과를 볼 수 없다. 해외에서는 오래전부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효소를 보충하는 ‘효소테라피’를 꾸준히 연구해왔다.

◇음식물 잘게 쪼개 소화 돕는 ‘소화효소’

소화는 어려운 활동이다. 인간은 체내 에너지의 1/3을 소화하는 데에 사용한다. 이러한 활동을 효소가 주도한다면 위장에 부담이 적어져 소화가 수월해진다. 소화효소는 입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침샘이나 위, 췌장 등에서 잘게 분해해 분자 크기의 영양소로 만든다. 입안이 마르고 입맛이 떨어지는 것은 소화효소인 침(아밀라아제)이 부족해 음식물의 분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소화효소가 부족하면 분해되지 않은 음식물들이 장(腸)내 찌꺼기로 남아 유해균의 번식을 유발하고, 각종 독소와 가스를 내뿜어 숙변이 되거나 장벽에 달라붙는다. 또는 혈관을 타고 온몸으로 퍼져 신체 곳곳에서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영양소 흡수부터 면역 관리까지 ‘대사효소’

대사효소는 잘게 쪼개진 영양소를 체내 곳곳에 보내고 이를 활성화한다. 대사효소가 제 역할을 못 하면 영양소가 체내 곳곳에 흡수될 수 없다. 몸에 좋은 음식을 아무리 먹어도 영양 결핍이 생기고 기력이 뚝뚝 떨어지는 이유다. 대사효소는 ▲혈관 청소 ▲염증 완화 ▲항암 ▲면역력 강화 등 다양한 일을 담당한다. 만약 소화효소가 부족해지면 대사효소까지 소화에 동원되는데, 이 경우 대사효소가 본래의 일을 하지 못해 면역체계에 교란이 오게 되고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떨어진 기력 살려주고 암 치료에 사용되기도

암 환자는 독한 항암 치료 후 속이 불편해져 음식을 먹지 못해 기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이때 효소가 채워진다면 소화를 돕고 영양소를 체내에 흡수시켜 몸에 힘을 불어넣는다. 효소가 약해진 위장의 기능을 강화해 영양소의 흡수율을 높이기도 한다. 국내 병원에서는 일부 암 환자에게 췌장효소제제를 처방해 면역세포들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발생학자 존 비어드(John Beard)는 암 치료에 효소를 사용해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됐음을 확인하기도 했다.

◇한국인에 맞는 곡물발효효소 먹어야 효과적

부족해진 효소를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발효효소가 좋다. 효소를 발효하면 발효 전보다 효소 활성도가 약 2배가량 높아진다. 곡물효소도 좋다. 예로부터 곡물을 주식으로 해온 우리나라 사람에게 딱 맞는다. 곡물효소는 체내의 생화학반응을 원활하게 하며 음식물을 분해시켜 영양분의 흡수를 돕고 독소를 배출하는 데에 탁월하다.

에드워드 하웰(Edward Howell·1896~1986)

세계적인 효소영양학자. 50년간 효소를 연구해 1985년 출간한 ‘효소영양학 개론’은 효소 연구의 기초가 됐다. 그는 “난치병은 극단적인 효소 부족이 원인”이고 “효소가 없으면 수명이 다한다”며 효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