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와 함께 ‘경도인지장애’ 환자 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같은 연령대에 비해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이 떨어지지만, 치매와 달리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별다른 문제가 없는 상태를 뜻한다.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치매 전 단계’라고 부르기도 한다. 문제는 치매에 비해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보니 위험성을 낮게 보거나 질환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점이다. 대한치매학회가 실시한 대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58%)은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 역시 10명 중 9명(88%)에 달했다. 대한치매학회 양동원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은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치매로 발전할 확률이 일반인 대비 5~15배 높다”며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경도인지장애를 제때 정확히 진단하고,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위험 요인을 적극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년기 기억력 저하, 경도인지장애 의심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는 정상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의 중간 상태에 해당한다. 정상 노화보다 인지기능 저하가 심하지만 치매로 보긴 어려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치매 환자는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이 점차 저하돼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는 반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기억력이 나빠질 뿐 큰 문제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한다.
경도인지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은 최근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길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시간과 장소를 헷갈려 하며, 자주 사용하던 물건의 이름을 쉽게 떠올리지 못하기도 한다. 이밖에 과거에 비해 이해력·표현력이 떨어진 경우에도 경도인지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같은 증상들을 단순 노화 증상으로 여겨 방치하면 치매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양동원 이사장은 “증상만으로 일반인이 정상적인 노화와 경도인지장애, 치매를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며 “기억력 저하가 나타난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에 방문해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경도인지장애 단계부터 관리 필요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치매로 발전할 확률이 높은 치매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실제 경도인지장애가 있을 경우 치매에 걸릴 확률이 정상 노인 대비 약 5~15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 역시 경도인지장애를 방치하면 언제 치매로 진행될지 모른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경도인지장애 단계부터 위험성을 높게 보고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인지기능이 악화되고 치매가 진행되고 있어도, 관련 위험 요인들을 적절히 관리하면 인지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인 동시에, 치매를 예방할 수도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인 셈이다.
특히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치매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위험 인자들을 주의해야 한다.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뇌혈관 질환과 잦은 흡연, 음주 등이 대표적이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았다면 이 같은 치매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동시에, 꾸준하고 활발하게 신체·사회활동을 유지하는 등 생활습관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양동원 이사장은 “경도인지장애를 진단받았다면 치매 예방을 위해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연·금주와 함께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고, 적극적인 두뇌 활동을 위해 다양한 취미생활·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