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중심의 지방발전체계 구축 계획인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게티이미지뱅크

‘지방대학이 초일류 디지털 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한다.’

‘지역 특색에 맞는 디지털 신산업이 발전하고, 주변에 유수 기업이 증가해 지방 인구가 증가한다.’

‘원격 진료·교육으로 도심 수준의 혜택을 농촌에서도 누릴 수 있다.’

정부가 제시한 ‘미래 지방시대’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중심의 지방발전체계 구축 계획인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정부가 발표한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 9대 정책 중 하나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이다. 기존 국가균형발전 정책이 단순한 ‘하드웨어적 인프라 확충 중심’으로 시행된 것과 달리 ‘지방 경제·사회의 디지털화(化)’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을 지원하고자 ▲지방의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 성장 지원 ▲지자체 주도의 지역 최적화 디지털 프로젝트 구상 ▲이를 뒷받침하는 디지털 관점의 지방정책 추진체계를 확립한다.

◇지방 디지털 신산업 허브로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

정부는 ‘디지털 혁신지구 단계별 계획’을 추진해 지방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우선 최첨단 기술이 집적된 판교테크노밸리 규모의 ‘디지털 혁신지구’를 전국에 5곳 이상 구축한다. 이곳에 ‘디지털 기업을 1000개 이상 모아 지방을 대표하는 디지털 혁신 허브(Hub)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정부의 디지털 혁신지구 개발은 이미 진행 중이다. 2020년부터 광주에 ‘인공지능 융합산업 집적 단지’를 선행적으로 조성했다. 올해는 부산 ‘센텀시티’, 대구 ‘수성알파시티’에 디지털 혁신거점 초기 기반 구축을 지원 중이다. 향후 다른 지역으로 지원을 확대하고 시범 추진 지역의 성장 가속화를 위해 대형 사업 컨설팅도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 주도로 기업과 인재가 선호하는 최적 입지에 성장 단계별 다양한 중장기 조성계획을 수립한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가 적합성 여부를 살펴본 뒤 ▲디지털 인프라 ▲입주기업 지원 ▲인재 양성 프로그램 ▲연구·개발(R&D) 등 성장에 필요한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디지털 혁신지구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지자체와 지방 대학도 힘을 합친다. 연구시설·학위과정·창업 지원 등 전문 인력 유치를 위한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지역 내 산재한 디지털 인프라를 연계하고 산학연(山學硏) 간에 협력체계를 구축해 인적 교류 활성화 등을 지원한다. 청년에겐 ‘일·성장·생활’이 갖춰진 환경을 제공해 청년 인구 유출까지 방지한다.

정부는 ‘디지털 혁신지구 단계별 계획’을 추진해 지방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 단지’ 조감도./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제공

◇지자체 주도의 지역별 최적화된 디지털 기술 기반 확보

지방시대를 열기 위해 지자체를 필두로 ‘디지털 중심 기술 확산’에 나선다. 인공지능(AI)·디지털트윈·메타버스·블록체인을 선도 지역 중심으로 확산시키고, 주력 산업에 맞춘 디지털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지자체의 디지털 사업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지역별 사업(정책기획·기업육성·품질 강화 기능)을 ‘지역 디지털 기초체력 지원’ 사업으로 통합·연계하는 추진 체계로 개편한다. 지자체가 주도해 현안에 맞는 디지털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디지털 혁신을 추진할 수 있도록 컨설팅 등을 일괄 지원한다. 지자체별 ▲특성 ▲여건 ▲정책 수요 및 강점에 기반한 지역 디지털 성장을 돕는 것이 주요 골자다.

특화 산업별 강점을 지닌 권역 중심으로 AI와 데이터를 솔루션에 융합하는 ‘권역별 AI 융합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또한 지방 주력 산업의 높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메타버스 허브 등 디지털 신기술 기반까지 구축한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이버 침해를 대비하기 위해 올해부터 동남권(부산·울산·경남)에 ‘정보보호 클러스터’를 조성해 보안성과 안정성 확보에 나섰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디지털 서비스 강소 소프트웨어(SW) 기업 100개 이상, 디지털 전환 고도화 제조기업 5000개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산업 분야별 특화된 디지털 서비스(XaaS)를 개발·실증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 지방 제조 현장·농지 등에 디지털 서비스를 보급·확산할 계획이다.

◇지방 디지털 사업 발굴 및 추진 절차 개선

정부는 ‘디지털 혁신’이 균형국가발전 핵심 어젠다(agenda)가 되도록 추진 체계를 개편·강화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제도적 기반 조성으로 ‘디지털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전국 21개 지역 SW산업진흥기관을 지역 내 디지털 싱크탱크로 육성하기 위해 ‘지역 디지털 진흥기관’으로 개편 ▲디지털 정책 협력체계를 통한 중앙-지방 소통 강화 ▲지역 디지털 의제화 ▲지역 내 범부처 디지털 사업 연계·협력 강화 등을 정립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특성과 여건을 고려해 ‘지방 디지털 재창조 프로젝트’ 사업화 절차도 체계적으로 마련한다. 지역별로 디지털 혁신 정책·사업 수요를 조사해 ‘중소·단기’ ‘대형·중장기’로 나눠 신규 사업을 지원한다. ‘중소·단기’ 제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부터 신규 추진하는 ‘지역 자율형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공모·평가 및 선정·지원한다. ‘대형·중장기’ 제안은 지자체와 대학·산업계 간에 논의를 거쳐 사업 필요성과 세부 추진 과제 등을 도출한다. 이후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 전문기관 컨설팅을 통해 구체적인 사업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