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알부민 수치’는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대표 지표가 된다. 나이 들수록 알부민은 감소한다. 혈중 알부민이 낮은 고령자는 유병률과 사망률 또한 모두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나이 들어 기력이 쇠하면 특별히 아프지 않아도 알부민 주사를 맞곤 했다. 하지만 알부민 원료인 혈액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했다. 동국제약은 2000년대 초반,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인체 혈청 알부민 제품 개발에 나섰다. 이 제조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를 취득했다. 그리고 이때 알부민의 새로운 위력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알부민 제 기능 못하면…독소 해독 못 하고 혈당 높여
체내에서 가장 큰 장기인 간은 심장·위·장과 직결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간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간에서 생성된 알부민은 위와 장에서 분해된 각종 영양소를 우리 몸 전체로 배달한다. 알부민이 영양소만 옮기고 다니는 것은 아니다. 혈액을 통해 흘러 다니는 알부민은 알코올·약물 등 독성 물질까지 흡착해 간으로 이동시킨다. 간은 이렇게 독성 물질을 해독하게 된다. 알부민이 제 역할을 못하면 노폐물 배출이나 독소 해독이 안 된다. 이 때문에 무력감이 들 정도로 피로하고 소화 장애가 나타나며, 때로는 얼굴색이 누렇게 변하기도 한다. 알부민은 전분의 소화 흡수를 늦춰,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 억제 기능까지 한다.
◇알부민 부족하면 몸 붓고 근육 줄어
알부민은 혈액 농도 유지와 혈압 조절을 담당한다. 알부민이 부족하면 밑 빠진 독에서 물이 새듯 오줌과 함께 영양소가 배출된다. 신장에 문제가 생기면 단백질을 거르는 능력이 떨어져 소변으로 알부민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혈관 안에 있어야 할 여러 체액이 유출되면서 붓는다. 신장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고, 향후 심혈관질환으로 발전하거나 사망률까지 높아질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고혈압·부종 등 이상 징후가 있다면 알부민을 채워야 한다.
혈청 내 존재하는 단백질의 70%가 알부민이다. 알부민이 부족하면 근감소증 위험도 커진다. 혈청 알부민 농도가 낮으면 근육 분해를 초래해, 다리와 허리가 쇠약해지고 오래 걷지 못하게 된다. 걷는 속도 또한 느려진다.
알부민이 부족하면 필요한 영양소가 제때 이동하지 못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뼈를 구성하는 무기질인 칼슘도 그 영양소 중 하나다. 혈청 알부민이 감소하면 칼슘이 부족해져 골다공증 위험이 커진다. 특히 고령층은 허리와 엉덩이의 골밀도가 감소해 추운 겨울, 가벼운 낙상에도 골절될 수 있다.
◇신경 보호하는 알부민, 뇌경색 예방 효과
알부민은 신경보호 효과가 있어 뇌경색을 예방한다. 아주대 병원이 뇌경색 환자 49명을 대조군(群)과 알부민군으로 나눠 시험한 결과, 3일 후 알부민군의 경색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했다. NIHSS(미국국립보건원의 뇌졸중 척도) 점수도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처럼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알부민은 최근 고가의 주사 대신 먹기 편하고 흡수도 빠른 ‘마시는 알부민’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마시는 알부민’은 오랜 연구와 기술 개발로 그 결과가 입증됐다. 알부민을 섭취할 때는 첨가된 원료부터 꼼꼼히 살펴야 한다. L-아르기닌은 몸속에서 생기는 암모니아의 독성을 없애며, L-아스파트산은 단백질 합성과 간 기능 개선에 좋다.